총 5개
-
UBE 수술2024.10.261. 서론 1.1.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요추 및 기타 추간판장애(추간판탈출증)의 정의 요추 및 기타 추간판장애(추간판탈출증)는 경추와 요추 부위가 가장 많이 침범받는 질환이다. 추간판은 각 척추의 추체(vertebral body) 사이에 있는 구조로서 척추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하며 굴곡과 신전운동,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각 추간판은 연골판, 중앙의 반고체성 수핵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간판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용적과 탄력성이 감소되어 압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진다. 수핵탈출증은...2024.10.26
-
HIVD와 척추후궁절제술2024.10.091. 개요 1.1. 추간판 탈출증(HIVD) 정의 추간판 탈출증(HIVD)은 추간판의 손상과 탈출로 인해 염증이 생긴 신경근을 기계적으로 압박하여 흉추 혹은 요추부의 축성 통증과 신경근 자극에 대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추간판은 두 인접한 추골 중심 사이에 위치하며, 척추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과 굴곡과 신전,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추간판은 연골판, 중앙의 반고체성 수핵, 이를 둘러싸는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간판 탈출증은 수핵이 섬유륜을 뚫고 나와 신경근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2024.10.09
-
척추유합술2024.10.121. 척추의 구조와 기능 1.1. 척추의 구성 척추는 사람 몸의 주요 골격을 구성하는 척주를 이루는 뼈들로, 크게 경추(7개), 흉추(12개), 요추(5개), 천추(5개), 미추(4개)로 이루어져 있다. 성인의 경우 이 뼈들이 합쳐져 총 26개의 척추로 구성된다. 척추는 골격을 지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척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척수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신경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척추가 손상되면 척수 손상으로 인한 여러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척추 사이에는 척추사이원반, 즉 디스크가 존재한다. 디스크는 두 ...2024.10.12
-
보조기의 종류2024.11.301. 보조기의 종류와 적용 1.1. 경추 보조기 1.1.1. Soft collar Soft collar는 경추부 염좌나 두부 및 경추부의 체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추 보조기이다. 소프트 칼라는 2중 구조로 되어 있어 착용감과 지지력이 우수하다. 경추의 굴곡, 신전 운동을 제한하며 목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경추부 염좌 환자나 두부 및 경추부 부상 환자에게 사용된다. 경추의 움직임을 일정 부분 제한하여 통증을 경감시키고 부상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1.1.2. Thomas soft collar Thoma...2024.11.30
-
c-arm2024.11.221. 경피적 척추후굴 풍선복원술 1.1. 수술 개요 및 적응증 경피적 척추후굴 풍선복원술은 내려앉고 손상된(골절이 발생한) 척추체에 바늘을 이용하여 풍선을 넣고 확장시켜 척추체의 높이를 올린 후(복원) 의료용 골시멘트를 주입하는 수술이다. 주로 압박골절(compression fracture) 시 뼈의 안정성을 높여주고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실시한다. 이 수술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전립선 암, 둘째, 임상적 국소암, 셋째, 10년 이상의 생존이 예상되는 경우, 넷째, 해당 수술에 다른 금기사항...2024.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