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조정자와 협력자로서의 역할2024.09.221. 전문직으로서 간호사의 법적 의무와 책임 1.1. 간호사의 법적 의무 1.1.1. 주의의무 간호사는 유해한 결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의식을 집중해야 하며, 의료행위 당시 일반적인 의료인 수준의 지식과 능력을 갖춘 의료인으로서 통상 베풀어야 하는 주의의무를 지닌다. 주의의무 태만의 판단기준은 의료행위 당시 일반 간호학적 지식 정도의 능력을 갖춘 간호사가 통상 베풀어야 할 의무이다. 이때 사고 당시 일반적인 의학수준, 의료 환경, 조건, 의료행위의 특수성, 재량성 등을 고려한다. 구체적으로 간호사는 결과예견의무와 결과회피의무가...2024.09.22
-
미래의 예비 간호사로서 자신만의 전문직관을 이론적 근거/고찰 제시와 함께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2024.12.141. 간호사의 법적 의무와 책임 1.1. 의료법에 명시된 법적 의무 1.1.1. 진료거부 금지의무 의료법 제 15조(진료거부 금지 등)에 따르면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개설자는 진료나 조산 요청을 받으면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지 못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 "의료인은 응급환자에게「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최선의 처치를 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진료 및 조산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거부할 수 없다. 응급환자에게도 최선의 처치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는 간...2024.12.14
-
간호사의 사망진단 의료법 위반2024.11.111. 서론 1.1. 간호사의 법적 의무 및 필요성 간호사의 법적 의무 및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에 따른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 범위의 확대로 간호 업무와 관련된 의료사고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간호사의 자율성과 책임이 향상되면서 의료소송도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간호사는 보다 높은 수준의 책임을 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는 자신의 업무 범위와 법적 권한에 대해 잘 알고 그 테두리 안에서 실무를 수행해야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환자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법적의무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은 ...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