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접촉주의 감염관리2024.09.171. 병원 감염관리와 환자안전 1.1. 병원 감염관리 1.1.1. 병원감염의 정의와 종류 병원감염이란 입원할 당시 증상이 없었거나 잠복기 상태가 아니었던 감염이 입원 후 또는 수술 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한 것을 말한다. 병원감염에는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이 있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정상 세균총이 기회감염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술 중 정상 세균총이 병변 부위로 유입되거나, 도뇨관 삽입 등의 침습적 처치로 인해 요로감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반면 외인성 감염은 의료...2024.09.17
-
병원성 미생물 감염과 안전관리2024.11.111. 병원감염의 개념과 사례 1.1. 병원감염의 정의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 hospital-acquired infection)이란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혹은 외과 수술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환자뿐 아니라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된다." 1.2. 병원감염 사례 병원감염 사례로는 2018년 5월 17일 서울 강남의 한 피부과에서 발생한 집단 패혈증 사건이 있다. 당시 조사에 따르면 패혈증 증...2024.11.11
-
수술실자발적환기장애2024.08.161. 서론 1.1. 임상포트폴리오 사례 개요 '1.1. 임상포트폴리오 사례 개요'는 2023년 1학기 임상포트폴리오2 수업의 주제인 "Benign neoplasm of parotid gland"에 대한 2주차 Nursing narrative이다. 환자는 2022년 10월 고지혈증 진단을 받고 약물 복용 중이며, 2023년 3월 본원에 내원하여 우측 측인두강 농양이 확인되어 우측 mass 수술을 받은 61세 남성 환자이다.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으며, 우측 눈 실명,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 본 사례는 수술 후 환...202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