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골절 피부통합성간호진단2024.10.021. 골절의 이해 1.1. 골절의 정의 골절(fracture)이란 강한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뼈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부러진 상태를 의미한다. 모든 골절은 어느 정도의 연조직 손상을 포함한다.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해 발생하며, 그 형태와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단순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가 정상인 상태이며, 복합골절은 외부의 상처와 골절부위가 연결된 상태로 골절된 뼈가 노출되어 있어 감염 위험이 높다. 또한 불완전골절은 뼈의 한쪽 골막만 파괴된 상태이고, 완전골절은 골절선이 완전히 뼈를 관통하여 골막, 뼈가 양면으로...2024.10.02
-
견관절 탈구2024.10.081. 견관절 탈구 1.1. 정의 및 원인 견관절 탈구는 상완골이 견갑골의 관절와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부분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넘어지거나 운동 중 어깨가 과도하게 벌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다. 청년층에서는 주로 격렬한 스포츠 활동, 교통사고 등의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반면, 노년층에서는 경미한 외력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20세 이하의 청장년층에서는 90%에 가까운 비율로 습관성 탈구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탈구 시 관절와순(labrum)이나 관절낭, 인대 등이 파열되어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가 ...2024.10.08
-
요골골절케이스2025.04.2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골격계는 우리 인체의 형상 중 가장 기본적인 구조로써 몸을 지탱하고 내부장기를 보호해주며 근부착, 조혈, 무기질 저장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인체의 뼈는 신체 구조상 가장 바깥에 위치해 있는 만큼 골절도 쉽게 일어나며 이로 인해 여러 다른 문제들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골절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약 54.2%, 여성은 약 54.8%로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3.3%, 여성이 5.5%로 여성이 2.2...2025.04.22
-
요골 척골 골절2025.05.281. 서론 1.1. 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인체는 다양한 형태의 206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다. 뼈는 단단한 조직인 골질 부분과 골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절 부분에는 연골이 있고 뼈의 표면에는 골막이 퍼져 있다. 뼈의 층에 따른 형태는 바깥층의 단단한 치밀질, 내부의 구멍이 숭숭한 해면질, 그리고 중심부의 골수로 구성된다. 골아 세포와 파골 세포의 활동에 의해 뼈의 모양이 형성된다. 뼈에는 크게 장골, 단골, 편평골, 불규칙한 뼈 등의 종류가 있다. 장골은 팔과 다리의 골격을 이루는 중요한 뼈이며, 단골은 손목과 발목을 구성하...202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