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지적장애아동 학습 동기와 통제소 특성 지원 방안2024.10.071. 통합교육에서 교사의 역할과 협력 1.1. 지적장애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 1.1.1. 학습동기의 개념과 특성 학습동기는 학습자가 학습의 주제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동인이다.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낮은 학습 동기로 인해 학습 수행 능력이 부족한데, 이는 단지 인지 능력의 부족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외적 통제소, 높은 외부 지향적 특성, 부정적 반응 경향성, 실패에 대한 높은 기대 등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이 높다. 사회 학습 이론에서는 인간이 개인의 목표, 강화제, 기대 등에 따라 사물에 접근 행동과 회피행동을 한다...2024.10.07
-
지적장애아동 학습 동기 통제소 지원방안2024.10.071. 지적장애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지원방안 1.1. 학습동기의 개념과 특성 학습동기는 학습자가 학습의 대상이 되는 주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심리적 요인을 말한다. 학습동기는 학습 수행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대부분 낮은 학습 동기로 인해 학습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다. 지적장애 아동의 낮은 학습 동기는 단순히 인지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것만은 아니며, 외적 통제소(external locus of control), 높은 외부 지향성(externally orie...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