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무균시험법2024.09.021. 수술실 무균술 1.1. 무균술의 기본원칙 수술실의 오염원은 수술실 인력, 수술 환자, 수술에 사용하는 기계와 물품, 수술에 사용하는 생리식염수, 수술실의 오염된 공기와 수술실 방문객이다. 수술실의 오염원을 최대로 감소시키고 수술 부위의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무균술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무균술(aseptic technique)은 사람, 물품, 영역이 미생물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한 관리법이며, 외과적 무균술(surgical asepsis)은 개방 상처의 오염을 막고 수술 부위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며...2024.09.02
-
소독과 멸균2025.02.231. 소독과 멸균의 기본 원칙 1.1. 의료기구 및 물품의 분류와 소독/멸균 수준 적용 의료기구 및 물품은 환자와의 접촉 방법과 상황에 따라 고위험 기구, 준위험 기구 및 비위험 기구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소독과 멸균의 수준을 적용한다. 고위험 기구(critical items)는 무균 조직, 혈관계에 삽입되는 기구로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어떠한 미생물도 존재해서는 안 되므로 멸균 상태로 사용한다. 준위험 기구(semicritical items)는 점막이나 손상된 피부에 접촉하는 것으로 모든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지만 일부 세...2025.02.23
-
수술실 실습일지 배운점2024.09.231. 수술실 실습 1.1. 외과적 손 씻기(surgical hand scrub) 외과적 손 씻기(surgical hand scrub)란 기계적 그리고 화학적 방법으로 손을 씻는 것으로, 간호사와 의사가 수술에 들어가기 전 손과 팔의 피부에 있는 일과성 미생물(transient flora)과 상주성 미생물(resident flora)을 제거하기 위해 소독액과 비누를 묻힌 솔로 손과 팔을 닦은 후 물로 헹구어 내게 된다"이다. 외과적 손 씻기 전에 반드시 반지, 시계와 팔지 등을 제거해야 하며, 손등에 비해 손끝의 오염도가 심하고...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