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고려2024.08.181. 서론 1.1. 고려 역사의 배경 고려는 후삼국 통일 이후 918년에 건국된 한반도 중세사의 중요한 왕조였다. 고려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고려는 후백제, 신라, 후고구려로 분열되어 있던 후삼국을 통일한 왕건에 의해 건국되었다. 당시 한반도의 국제정세를 보면 중국에서는 당이 망하고 다섯 나라가 연이어 일어나는 5대 시대가 전개되고 있었다. 중국 남방에서는 10개의 나라가 발전하고 있었으며, 중국 서부에서는 북방 민족인 거란이 등장하여 발해를 정복하고 요나라를 세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려는 거란을 적대시하며, 후백제와...2024.08.18
-
역사적 인물 재평가2024.11.041. 서론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는 반만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권력다툼부터, 최초의 통일국가인 신라를 대신해 반도의 주인이 된 고려, 고려의 뒤를 이어 약 500 년간 조선과 대한제국이 존재하기까지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했고, 이들의 업적과 생애는 각종 역사책과 교과서, 각종 매체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근현대사까지 고려한다면, 이름과 업적을 전부 거론하는 것만으로도 입이 닳을 정도로 수많은 인물들이 대한민국의 역사를 수놓았다.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4군6진 개척이나 모두가 인정하는 ...2024.11.04
-
뿌리깊은한국사 인물2024.11.051. 서론 1.1. 문서 선정 이유 첫 번째로, 미디어에서 발생한 신조어로 인해 역사적 인물에게 편견적 사고를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현대에 들어서며 인터넷 사회가 활성화되자 역사를 접하는 통로가 영화, 드라마, SNS, 소설 등 매우 다양해졌다. 대중들은 학교 수업 외에도 다양한 영상매체를 통해 쉽고, 친근하게 역사 지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궁예가 관심법을 사용하던 장면이 '궁예질'이라는 다른 사람이나 유명인의 속내를 지레짐작해 근거 없이 멋대로 추측, 판단하는 행위를 비꼬는 용도로 쓰인다. 얼굴만...2024.11.05
-
견훤과 후백제 외교, 후삼국시대2024.11.101. 후백제 견훤의 대일본 외교 1.1. 들어가며 신라 780년 혜공왕이 살해된 후 정치적으로 쇠퇴기인 하대가 시작된다. 지방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되자 전국 각지에서 세력이 일어났다. 후백제를 세운 견훤 역시 신라 말 혼란기 지배권을 쟁탈하려는 세력 중 하나였다. 그는 여러 성을 공략하고 무진주를 점령한 후 스스로 왕위에 올랐으며, 900년에는 완산주를 수도로 정하였고,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특히, 견훤은 비교적 빠르게 후백제를 건국하여 후삼국을 주도하였다. 견훤이 빠른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2024.11.10
-
한국사,뿌리깊은이야기2025.04.261. 서론 1.1. 궁예 선정 이유 다음과 같은 이유로 궁예를 선정하게 되었다. 첫째, 미디어에서 발생한 신조어 '궁예질'로 인해 역사적 인물에 대한 편견적 사고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궁예가 관심법을 사용하는 장면이 '궁예질', 즉 근거 없이 추측하고 판단하는 행위를 비꼬는 용도로 쓰이면서 궁예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흘러갔다. 둘째,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역사 인물에 대한 평가가 통일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궁예의 경우 정치적 패배로 왕건 왕조의 교체에 대한 당위성을...2025.04.26
-
궁예 재평가2025.05.311. 서론 1.1. 궁예에 대한 선입견 역사 속 인물인 궁예에 대해서는 현대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편견적 이미지가 지배적이다. 특히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궁예가 사용했던 '관심법'은 현재 '궁예질하다'라는 신조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타인의 속마음을 단정 짓고 평가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용례로 인해 궁예는 대중들에게 폭군이자 잔인한 인물로 각인되어 있다. 또한 기록에 드러난 궁예의 폭력적 행동과 극단적인 처벌은 그를 역사 속 악마적 존재로 부각시켰다. 이처럼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어온 궁예에 대한 부정적...2025.05.31
-
한국사 뿌리깊은 기말2025.06.131. 한국사 뿌리깊은 기말 1.1. 후삼국시대의 영웅들 1.1.1. 궁예 궁예는 신라 출신으로 성은 김씨이며, 아버지는 신라의 제47대 헌안왕으로 알려져 있다. 궁예는 자신의 출생에 대한 비밀을 알고 10여 세에 출가하여 중이 되었다. 궁예는 진성왕 5년(891)에 절을 나와 초적세력들에게 의탁하였고, 죽주의 기훤과 북원의 양길에게 투신하였다. 궁예는 양길의 군사를 얻어 북쪽 지역을 평정하게 된다. 궁예는 송악을 근거로 자립하여 후고구려를 건국하였고, 이는 신라 효공왕 5년(901)의 일이다. 궁예는 고구려 부흥을 구호로 내걸고...2025.06.13
-
태조 왕건 일대기2025.06.121. 태조 왕건 일대기 1.1. 고려 수도 개경(개성)의 성립과 변천 과정 태조 왕건의 6대조인 호경이 송악 일대에 정착한 이후 그 일족이 호족으로 성장하였다. 왕건의 아버지 왕륭은 896년에 궁예에 항복하였고 3년 뒤에 궁예가 송악을 수도로 삼으면서 한 국가의 수도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905년에 궁예가 수도를 철원으로 옮기게 되나 왕건이 918년에 고려를 건국하고 919년에 송악(개경)에 수도를 정하면서 고려의 수도가 되었다. 고려가 개경을 수도로 한 이유는 왕건의 세력지가 개경일대였고 궁예 시절 만들어놓은 국가기반 시...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