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임상현장 윤리적 딜레마2024.09.121. 윤리적 딜레마 사례 분석 1.1. 신경외과 병동 실습 사례 신경외과 병동에서 실습을 하던 중에 겪은 윤리적 딜레마 사례이다. 68세의 김ㅇㅇ 할아버지께서 뇌경색으로 입원해 계셨는데, 할아버지는 지남력이 없고 자기관리가 불가능한 상태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간 동안 팔과 다리에 억제대가 적용되어 있었다. 실습 중 바이탈을 재러 가면 할아버지께서 웅얼대며 저항하셨고, 낙상의 위험성과 IV line을 빼는 행위로 인한 위험 예방을 위해 억제대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2주간의 실습 기간 동안 할아버지의 팔과 다리가 거의 대부분 억...2024.09.12
-
응급실 내 억제대 사용의 윤리적 딜레마2024.09.171. 윤리적 의사결정 1.1. 윤리원칙 윤리원칙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의료진이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기준으로, 자율성 존중의 원칙, 선행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정의의 원칙이 있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환자가 의사결정을 할 능력이 있어야 하고, 자발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가 자발적으로 동의해야 한다. 그러나 환자가 의사결정능력이 없다면 대리인의 결정을 따르게 된다. 선행의 원칙은 환자에게 이득이 되고 해가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선행의 원칙에는...2024.09.17
-
강제 투약2024.09.241. 정신질환자 인권보호 전략 1.1. 정신질환자란 정신질환자란 정신보건법 제 3조에 의하면 정신병(器質的 精神病을 포함한다)·인격장애·알코올 및 약물중독 기타 비정신병적 정신장애를 가진 자를 의미한다. 정신건강복지법 제2조 7항에 의하면 정신질환자는 원칙적으로 자신의 신체와 재산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권리를 가지며, 특히 주거지,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나 거부, 타인과의 교류, 복지서비스의 이용 여부와 복지서비스 종류의 선택 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자기결정권을 존중받는다. 1.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2024.09.24
-
신체보호대의 올바른 사용과 주의 사항2024.09.201. 신체보호대 관리 규정 1.1. 목적 및 용어의 정의 신체보호대의 목적은 신체보호대 사용을 최소화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의 권리 존중 및 안전을 위하여 일관된 규정을 수립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신체보호대"는 상해로부터 본인이나 다른 사람을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의 전신 혹은 일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할 때 사용되는 수동적 방법이나 물리적 장치 및 기구를 의미한다. 1.2. 신체보호대 적용 대상 및 종류 신체보호대 적용 대상 및 종류는 다음과 같다. 신체보호대 적용 대상은 자신이나 타인의 안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2024.09.20
-
아동의 침습적진단2024.10.041. 사전동의 1.1. 사전동의의 정의와 필요성 사전동의란 모든 침습적인 시술 전 환자·보호자가 의사결정을 위해 시술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는 것을 의미한다." 사전동의의 필요성은 환자의 자율성과 권리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환자는 자신에게 행해지는 의료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 권리가 있고, 치료행위에 있어 선택을 할 수 있는 결정권을 가지게 된다. 또한 수술이나 침습적 처치에는 대상자에게 충분한 설명 후 사전적으로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의료행위를 받는 당사자가 아동일 경우, 보호자에게 설명한 뒤 동의를 ...2024.10.04
-
신경외과 윤리적 사례2024.10.031. 서론 임상현장에서는 환자의 자율성 존중과 생명과 건강에 대한 간호사의 의무 사이에서 윤리적 딜레마가 자주 발생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이 저하된 경우에도 자율성을 존중해야 하지만, 온정적 간섭주의에 따라 환자의 이익을 위해 일정 부분 자율성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딜레마 상황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권리 및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되, 윤리강령과 의료법규에 근거하여 윤리적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특히 회복 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 과오발생 시 정보 공개 및 책임,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 조율 등의 상황에서 ...2024.10.03
-
장애인 부양가족에 대한 사정의 목적과 특성, 사정도구의 종류에 관해 설명하고 사정도구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정하시오2024.10.111. 정신장애인의 장기입원 현황과 개선방안 1.1. 우리나라 정신장애인의 정신의료기관 장기입원 현황 정신질환으로 연간 입원하는 건강보험 환자의 수는 2021년 106,495명에서 2023년 161,388명으로, 의료급여 환자의 수는 2022년 52,400명에서 2023년 89,638명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정신질환의 낮은 치료 유병률을 감안할 때 치료율의 증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1년 중 6개월 이상 입원하는 환자의 수 또한 건강보험의 경우 10,320명에서 23,555명로, 의료급여의 경우 25,768명에서 40,75...2024.10.11
-
자율성존중 원칙과 선행의 원칙2024.11.241. 선행의 원칙과 자율성 존중의 원칙의 상호보완성 1.1. 온정적 간섭주의를 통한 자율성 존중의 실현 온정적 간섭주의를 통한 자율성 존중의 실현이란 선행의 원칙과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실현하는 것이다. 온정적 간섭주의는 선행을 목적으로 어떤 사람이 표현한 선호나 그의 결정을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율성과 충돌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환자의 자율성은 어떤 독립적인 고려 사항이라기보다는 치료 후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위한 일부라고 볼 수 있다. 환자가 의료진의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