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온열환경2024.10.201. 온열 환경의 이해 1.1. 온열조건 1.1.1. 인간의 체온조절 인간의 체온조절은 주위환경의 현저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인간은 체온생산과 체온방산의 균형을 통해 항상성을 유지한다. 체온생산은 주로 음식물 섭취에 의한 신진대사로 이루어지며, 간과 골격근 등에서 열이 발생한다. 체온방산은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 증발, 전도, 복사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체온조절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온, 습도, 기류, 복사열 등의 온열인자들이 있다. 이러한 온열인자들이 특정 상태로 결합되어 나타나는 ...2024.10.20
-
온열환경이란2024.10.201. 서론 1.1. 연구의 개요 세계 각 지방의 전통건축물들은 각각의 기후나 풍토, 역사, 문화 등에 따라 환경에 적응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근대 이후의 건축은 대량생산 된 건축재료를 통해 각 지방 환경의 차이를 극복하고 일정 주거조건을 달성하려는 목적 아래 발전되어 왔고, 대신 건축물에 환경조절 시스템을 도입하여 인간의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해왔다. 이러한 환경조절 시스템은 건축물에 많은 에너지를 투자하게 만들며 에너지의 대량소비는 결국 자원고갈,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 ...2024.10.20
-
온열환경 목차2024.10.201. 주택 온열환경 및 개선 방안 1.1. 입주 예정 주택의 건축적 특성 입주 예정 주택의 건축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상 주택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에 위치한 다세대주택으로, 남서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지면적은 148㎡(43.56평)이며, 건축면적은 69.68㎡(21.1평), 연면적은 151.58㎡(46평)이다. 용적률 산정을 위한 면적은 135.58㎡(41평)이다. 주택은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 속하며, 용적률은 150%~250%, 건폐율은 60% 이하로 계획되었다. 최고고도지구 구역이므로 7층 이하로 건축되었...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