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찬송가의 역사에 대한연구2024.11.241. 초대교회 예배음악의 역사적 고찰 1.1. 서론 1.1.1. 연구동기와 문제제기 오늘날 한국교회는 찬송의 관점에서 완전히 미국에 종속되어 초기의 언더우드나 아펜젤러, 펜윅, 길선주 등이 노력했던 한국화에 대한 의지를 상실한 채 이방종교화 되어 버렸다. 목회자들은 찬송에 대하여 지도할 능력이 없어서 주로 젊은 층으로 구성된 찬양 팀에 일임한 채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예배음악이 예배의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 설교를 돕기 위한 효과음악 내지는 예배의 장식품처럼 취급되는 경향이다. 아울러 대부분의 교회가 예배음악에 대한 이해의...2024.11.24
-
논평2024.10.011. 음악, 그대는 내 마음의 표현이요, 선교의 강력한 도구라 1.1. 평생에 고민할 것, 음악을 다루기에 앞서 평생에 고민할 것, 음악을 다루기에 앞서... 교회에 다닌다 하는 청소년과 청년들 사이에서 CCM을 듣지 않는 사람이란 찾아보기 힘들다. 개 교회의 찬양팀은 예수전도단, 어노인팅 등 집회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의 찬양과 스타일을 쫓아가기 위해 한 주에도 몇 번씩 모여 서로와 맞추어 본다. 그것으로도 부족한 이들은 외국음반을 듣기도 하고 스스로가 작곡하고 편곡한 곡들을 연습한다. 비록 지금의 CCM이라 하는 음악이...2024.10.01
-
1인 1악기 소고2025.08.111. 전통 악기 1인 1악기 소고 1.1. 전통 악기의 분류와 특징 전통 악기는 그 재료에 따라 금부, 석부, 사부, 죽부, 포부, 토부, 혁부, 목부의 여덟 개 군으로 나눌 수 있다. 금부 악기는 쇠를 재료로 하여 만든 악기로 편종, 운라, 방향, 자바라, 나발, 징, 꽹과리 등이 있다. 석부 악기는 단단한 경석으로 만든 편경이 있다. 사부 악기는 줄을 재료로 하여 만든 악기로 거문고, 가야금, 아쟁, 해금, 양금 등이 있다. 죽부 악기는 대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대금, 피리 등이 있다. 포부 악기는 바가지를 재료로 하여 만든...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