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개
-
방주교회2024.09.131. 교회론 1.1. 칼 바르트의 교회론 1.1.1. 교회의 본질 바르트는 교회의 본질에 관하여 새로운 기초를 세웠다. 바르트는 교회를 "사건"(Ereignis)으로 본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고 인간은 그 말씀을 듣는 사건이 일어나는 그곳이 바로 교회이다. 이는 교회를 제도나 건물, 장소가 아닌 "사건"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교회 개념에 큰 충격을 주었다. 에밀 부룬너의 말씀의 사건 개념을 받아들인 호켄다익은 교회를 "하나님의 행위"로 보며 고정된 장소가 없고 나그네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교회를 제도나 건...2024.09.13
-
참된그리스도인2024.09.151. 서론 1.1. 새신자 반의 배경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한 생명이 태어나 장성한 어른이 되기까지 필요한 것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저자는 참된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죄의 회개와 그리스도를 구원자로 영접하므로 시작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믿음으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로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구원의 확신이 있어야 하며,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를 해야한다고 말한다. 또한 성도들과의 관계에서도 신앙 안에서 교제하므로 자기의 영적인 부분이 발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권면하고 있다. 저자는 전도에 대해 강력하...2024.09.15
-
세일해머노아2024.09.151. 모세오경의 이해 1.1. 모세오경의 구조와 저자 모세오경의 구조와 저자는 다음과 같다. 모세오경은 원래 하나의 책으로 기록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하나의 목적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세오경은 한 명의 저자, 즉 모세에 의해 기록되었다. 이는 모세오경 내에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후기 성경 저자들과 성경 전체 내에서 모세오경의 저작권이 모세에게 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세오경은 역사적인 서술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창세기 1-11장이 모세오경 전체에 대한 서론을 구성하고 있다. 모세오경의 저자는 모세이지만, 성령의 감...2024.09.15
-
성경에 나타난 찬양2024.09.171. 시편(詩篇) 1.1. 시편의 명칭 시편의 명칭은 히브리어 "세페르 테힐림(??? ?????=찬양들의 책)"또는 "테힐림 ( ?????=찬양들)"이다. 이것은 "비블로 프살몬: β?βλ? Ψαλμω?ν=시편의 책"이라 한 신약의 명칭과 일치한다. 헬라 사본들에는 프살테리온(Ψαλτ?ριον=현악기, 노래들의 수집)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체로 프살모이(Ψαλμο?)로 되어 있다. 벌게이트 역은 LXX를 따라 리베르 프살모룸(Liber Psalmorum)으로 되었으며 이에서 영어 명칭(Psalms)이 유래했다. 리베르 프살모룸(...2024.09.17
-
신앙인으로서 내려놓음2024.09.201. 회심의 변질 1.1. 회심과 변화 회심과 변화"은 사복음서에 가득한 이야기였다. 사람들의 신념, 소속, 행동에 엄청난 변화를 일으킨 것이 바로 회심이었다. 회심은 곧 변화를 의미했다. 초기 기독교는 고난과 멸시 속에서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다. 예배가 매력적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교인들의 매력적인 삶, 개개인의 삶과 그에 따른 특징, 생명력 넘치는 공동체를 가꾸어 갔기 때문이었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또 다른 요인은 그리스도인의 신념이었다. 회심은 신앙의 예비자들이 자신을 '재사회화'의 과정에 복종시킬 때 일어났다. ...2024.09.20
-
기독교인의삶속에서의 내려놓음 이란2024.09.201. 하나님 앞에서 울다 1.1. 상실의 의미와 극복 상실은 살아있다는 것의 증거이자 인생의 일부분이다. 모든 사람은 누군가의 상실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삶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뚜렷한 표현이기도 하다. 상실은 우리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살아가는 의미와 방향성에 대해 근본적으로 질문하게 만든다. 저자 또한 가족을 잃는 끔찍한 사고를 겪으며 상실의 고통을 절실히 경험했다. 이러한 상실의 경험은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상실은 단순히 어떤 대상을 잃는 것을 넘어, 그것이 지닌 가치와 의미...2024.09.20
-
칼빈 목회2024.09.301. 서론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교 연구는 초·중세 기독교나 근대 유럽 기독교 문명의 근원에 대한 탐구일 뿐만 아니라, 아시아 기독교의 정체성을 세우고자 하는 신학적 노력에 있어서도 의미심장하다"". 왜냐하면 어거스틴과 칼빈은 각각 기독교 제국인 로마가 몰락하던 시기와 중세 기독교 문명이 무너지고 유럽이 새로운 근대 사회로 재편되던 16세기 종교개혁 시기라고 하는 매우 드라마틱한 대 격동기에 그들 자신의 역사적 교회의 지도자로서 신학을 전개했기 때문이다"". 2. 칼빈과 어거스틴 2.1.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교 칼빈과 어거스틴의 비...2024.09.30
-
1세대 교회예배이야기2024.09.281. 예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Ⅰ, Ⅱ 요약 및 서평 1.1. 들어가는 말 예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Ⅰ, Ⅱ는 한국 교회의 교인들이 가질 수 있는 교회에 대한 다양한 물음들을 소개하고 그 해답을 제시해주는 책이다. 저자인 안재경 목사는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화란한인교회에서 만 7년간 담임하였으며, 서기, 그리고 운영위원 및 편집장, 서기로 섬겼다. 또한 그의 저서로 성경신학과 관련된 책이 있고, 예배에 대한 책이 발행된 만큼 예배에 많은 관심과 연구를 한 학자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별히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오늘날 한국 교회...2024.09.28
-
한국교회 예배 문제점2024.09.231. 예배의 성경적 관점에 따른 한국 교회 예배의 문제점과 예배 갱신 1.1. 서론 - 한국 교회의 예배의 문제점 한국 교회의 예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문화와 역사적 배경, 교회사, 특히 예배의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 한국 교회는 예배 이해를 단지 공예배로만 제한되고 있다. 사실 이와 같은 예배관은 예배 신학적 토대의 부족으로 기인한 것이다. 기독교 예배는 근본적으로 삶과 분리될 수 없다. 그리스도인의 예배는 육체적 순종 안에서 행해진다. 그리스도인들은 항상 '하나님의 존전'에 서 있는 자들이다. 종교개혁 이후 설교는 ...2024.09.23
-
한국교회 예배 갱신을 위한 방법2024.09.231. 예배에 대한 고찰 1.1. 예배의 의미와 역할 예배의 의미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앙적 생활을 영위하는 종교적 행위이다. 초대교회부터 이어져 온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그분의 구원의 은혜에 대해 감사하는 것이다. 예배를 통해 신자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나누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며, 하나님께 자신을 바치게 된다. 예배의 핵심적인 역할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유지이다. 인간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 단절되었지만,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