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십자군 전쟁2024.09.161. 십자군 전쟁의 배경과 발단 1.1. 이슬람 출현과 기독교와의 충돌 이슬람의 출현과 기독교와의 충돌 7세기에 이슬람교가 출현하면서 이슬람과 기독교 세력 간의 대립이 시작되었다. 이슬람은 아라비아 지역에서 급격하게 성장하여 주변 지역을 빠르게 정복해나갔다. 이로 인해 기독교 영토가 축소되었고, 특히 비잔틴 제국은 이슬람의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슬람교의 출현 배경에는 당시 아라비아 반도의 사회 구조 변화가 자리 잡고 있었다. 아라비아 반도에는 유목민 사회와 정착 사회가 공존하고 있었는데, 정착 사회를 중심으로 변화가 일어...2024.09.16
-
제 2 성전기 유대교2024.09.201. 종교와 역사 속의 예루살렘 1.1. 예루살렘의 새벽과 운명의 서막 예루살렘의 새벽과 운명의 서막은 기원 70년 유대 전쟁의 비극적인 최종 결말이었다. 이 전쟁은 로마 제국과 유대인 간의 오랜 갈등의 절정이었으며, 유대인들에게는 끔찍한 참화였다. 당시 로마는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있었다. 50만에 가까운 굶주린 유대인들이 성 안에 갇혀 있었다. 로마군이 성을 공격하면서 예루살렘은 지옥 같은 공격을 받았다. 유대인들은 저항하며 싸웠지만 결국 패배했다. 성전은 파괴되었고, 도시는 약탈당했다. 많은 유대인들이 학살당했고, 생존자들...2024.09.20
-
대선지서2024.11.081. 구약의 선지자들 1.1. 예레미야 1.1.1. 이름의 뜻과 유래 예레미야는 '여화와 께서 세우심'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는 수심에 잠긴 나라를 향한 그의 부모의 기도와 젊은 예레미야를 향한 열망을 잘 나타내 주는 것 같다. 1.1.2. 시대적 배경 예레미야는 유다의 마지막 다섯 왕들인 요시야,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드기야 치하에서 예언하였다. 예레미야는 유다 왕국이 파멸하는 시기 전반에 걸쳐 살았다. 요시야 왕(B.C.640-609)의 통치 때인 B.C. 627년에 소명을 받은 예레미야는 아무런 방해 없이...2024.11.08
-
교회론의 변천사 약술2024.10.121. 서양사 10대 사건 1.1. 십자군 운동 십자군 운동(crusades)은 11세기 말에서 13세기 말 사이에 서유럽의 그리스도교도들이 성지 팔레스티나와 성도 예루살렘을 이슬람교도들로부터 탈환하기 위해 전후 8회에 걸쳐 감행한 대원정이다. 참가자들은 가슴이나 어깨에 십자 표지를 달았고 돌아올 때는 등에 달았다. 교황 우르반 2세는 1095년 클레르몽 종교 회의에서 투르크 족의 순례자에 대한 박해와 동방세계의 부유함을 강조하면서 이슬람에 대한 성전에 참여할 것을 요청했고, 참가자들은 '하느님이 원하신다'고 외치며 이에 호응하여 ...2024.10.12
-
요한복음 연구2024.11.011. 요한복음 개요 1.1. 요한복음의 배경 및 구성 1.1.1.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의 차이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관복음은 역사적 기록인데 요한복음은 영적 기록이라는 견해가 있다. 요한복음 20:31에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라고 하여 요한복음의 기록 목적이 역사적 사실 보도가 아니라 전도와 목회를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마태, 마가, 누가복음도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2024.11.01
-
마가복음 12장 주해2024.12.051. 마가복음 기장 분석 및 본문 주해 1.1. 마가복음 개요 1.1.1. 마가복음의 저작 시기 마가복음의 저작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대략적으로 주후 70년 이전으로 추정된다. 마가복음이 가장 먼저 기록된 복음서로 인정되고 있으며, 시간상으로 예수님의 직접적인 증인들과 가깝다는 점에서 가장 정확한 예수님에 관한 보도를 싣고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집중을 받고 있다. 마가복음의 기록연대로는 주후 70년 이전이 가장 가능성이 있다. 누가복음과 달리 마가복음의 저자는 예루살렘의 멸망과 성전의 파괴에 관한 예수의 예언을 주후 7...202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