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고대 이스라엘의 기원과 출애굽의 역사신학적 의미2024.09.111. 이스라엘의 무성전 시대 1.1. 용어와 연대 "용어와 연대"에 따르면, 저자는 '포로기'라는 용어에 대한 문제 제기로 시작한다. 저자는 '포로기'보다는 '무성전 시대'라는 용어가 당시의 상황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무성전 시대'란 "예루살렘이 멸망을 한 기원전 587년에서 제2성전이 건립이 된 515년 사이"를 지칭한다. 이 시기는 유다의 역사, 사회, 종교에 큰 변화가 일어났던 시기로, 유다 공동체가 분열되고 예루살렘이 멸망하면서 다양한 상황이 발생했다. 저자는 이 시기를 '비극의 시대'와 '희망의 시대'로...2024.09.11
-
다니엘서 2장 31-45절2024.10.101. 구약의 주요 내용 1.1. 하나님과 인간 하나님과 인간은 창세기 1-2장에 잘 나타나있다. 여기서 하나님은 전능하신 창조주로 소개되며, 그분이 천지를 창조하시고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셨음을 알 수 있다. 즉 하나님은 무한하고 전지전능한 분이시며, 인간은 유한하고 피조된 존재로서 하나님과 구분된다. 한편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았기에 특별한 존재이다. 인간은 하나님과 교제하며 세상을 다스릴 권세를 받았다. 그러나 동시에 인간은 하나님의 피조물이자 종속적인 존재이기도 하다. 즉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2024.10.10
-
느브갓네살의 환상 해석2024.10.101. 서론 개인이나 국가의 역사를 통해서 볼 때 시대별로 위기의 시기는 늘 존재해 왔다. 그 위기의 순간들을 어떻게 대처하는가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그에 따라 개인이나 국가의 미래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민족에게도 심각한 위기가 찾아왔다. 바로 유다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하고 백성들이 포로로 잡혀가게 된 것이다. 바로 포로기라는 고통과 수난의 시기를 맞게 된 것이다. 이는 남유다보다 앞서 멸망당한 후 혼합정책에 순응해 버린 북이스라엘과 같이 민족의 정체성을 잃고 역사속으로 사라져 버릴 수 있는 절대적 위기인 것이다. 이...2024.10.10
-
대선지서2024.11.081. 구약의 선지자들 1.1. 예레미야 1.1.1. 이름의 뜻과 유래 예레미야는 '여화와 께서 세우심'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는 수심에 잠긴 나라를 향한 그의 부모의 기도와 젊은 예레미야를 향한 열망을 잘 나타내 주는 것 같다. 1.1.2. 시대적 배경 예레미야는 유다의 마지막 다섯 왕들인 요시야,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드기야 치하에서 예언하였다. 예레미야는 유다 왕국이 파멸하는 시기 전반에 걸쳐 살았다. 요시야 왕(B.C.640-609)의 통치 때인 B.C. 627년에 소명을 받은 예레미야는 아무런 방해 없이...2024.11.08
-
남 유다의 멸망은 하나님의 심판인가2024.12.071. 구약성경 개괄 1.1.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1.1.1. 이사야서 1.1.1.1. 이사야의 생애와 시대 이사야는 남쪽 유다가 앗수르의 위협을 받던 시기에 사역을 하는데, 유다 왕 웃시야,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 4대에 걸쳐 장기 사역을 합니다."" 이사야는 B.C. 739년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소명을 받고, 므낫세 왕이 통치할 때까지 선지자 사역을 계속합니다. 이사야는 B.C. 701년에 앗수르의 군대가 예루살렘 주민들을 포로로 잡아가려고 남쪽 유다를 공격하는 중요한 시기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습니다. ...2024.12.07
-
포로기 역사 예언자의 역할 분석2024.12.021. 포로기 예언자들 1.1. 포로기 역사 1.1.1. 유다의 멸망과정 유다의 멸망과정은 주전 8세기 후반부터 주전 6세기 초반에 걸쳐 진행되었다. 앗수르 제국이 쇠퇴하고 바벨론 제국이 부상하면서 유다 왕국은 이 두 대륙 세력 사이에서 치열한 생존 경쟁을 펼쳐야만 했다. 먼저 유다의 선왕 요시야가 애굽과의 전쟁 도중 전사하면서 유다는 혼란에 빠졌다. 요시야의 아들 여호아하스가 잠시 왕위에 올랐지만 애굽의 간섭으로 교체되어 여호야김이 왕위에 올랐다. 여호야김은 바벨론에 복속되었다가 반역하였고, 주전 597년 바벨론 군대에 의해 ...2024.12.02
-
포로기 역사 예언자 분석2024.12.021. 서론 1.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역사서 수업을 통해 배운 바벨론 포로기를 정리하고 보다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유다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하고 백성들이 포로로 잡혀가게 된 포로기라는 고통과 수난의 시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포로기에 활동한 선지자들의 신학적 특징과 메시지를 중점적으로 탐구하여 포로기 예언자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포로기라는 심각한 위기의 순간에 예언자들이 어떤 메시지를 선포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신학과 메시지를 연구하고자 한다....2024.12.02
-
하나님은옛언약의율법을대신하여어떤은혜를주셨나2024.10.141. 은혜의 언약 1.1. 구약에 나타난 은혜의 언약 1.1.1. 원복음 창세기 3장 15절에 나오는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는 구절은 성경에서 복음에 대한 최초의 암시인 "원복음"을 담고 있다"".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과 더 이상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지만, 하나님은 여자의 후손을 통해 인간을 구원하시겠다는 약속을 하셨다. 이 약속은 나중에 아브라함과의 언약, 모세와의 언약...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