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유도2024.09.221. 유도의 개요 및 기본동작 1.1. 유도의 의의와 목적 유도는 무기를 갖지 않고 맨손으로 상대와 서로 맞잡고 매치고, 누르고 조르고 또한 꺾기 등으로 신체를 단련하고 정신을 수련하는 격투기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유능제강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체계화 한 것이라 하겠다. 유능제강이란 유가 반드시 강을 제압한다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서 강을 제압한다는 것이다. 즉 심신의 힘을 가장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며, 이를 공격과 방어의 기술에 과학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도는 부단한 수련 과정을 통하여 무술,...2024.09.22
-
안연2024.10.081. 논어를 통해 본 사람 공부: 공자의 학교와 학생 1.1. 서론 『논어』는 고대 중국의 사상가인 공자의 가르침을 담은 옛 문헌이다. 공자와 제자들의 문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자의 말과 행적, 고제의 발언 등이 담겨 있다. 공자는 유교의 시조로서 최고의 덕을 '인(仁)'이라고 보았으며, 인을 도덕 규범이 아닌 사회 질서를 회복할 수 있는 정치사상으로까지 생각했다. 한편 『논어』는 현대에도 인생의 교훈이 되는 말들이 담겨 있으며 문체가 간결하고 함축적이다. 본고에서는 『논어』에서 말하는 예(禮)와 인(仁)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2024.10.08
-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상호 비교2024.10.081. 서론 인류의 진화와 역사의 흐름은 경쟁과 전쟁 그리고 분쟁으로 이루어졌다 하여도 큰 이상이 없다." 이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었으며, 아시아 중국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념의 싸움과 달리 영토 위주로 일어난 중세의 전쟁은 일상이었다. 덕분에 백성들은 살아남지 못했고, 핍박과 착취를 받으며 지내야만 했다. 공자는 인을 주장하며,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정치를 역설했다. 당연히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정명의 정치를 주장했다. 많은 사람들이 내면의 규범을 잃었고, 공자는 올바른 행위 규범을 확립했다. 그에 따라 보편적인 도덕•윤...2024.10.08
-
정신전력2024.10.261. 태권도의 의미 1.1. 우리 민족과 태권도의 관계 태권도는 우리 민족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태권도는 고구려시대의 벽화에서 발견되는 격기운동의 형태를 시초로 하여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역사학자들과 스포츠 사학자들은 우리나라에서 고조선 시대 이전부터 격기운동이 성행했음을 주장한다. 이는 인류 최초의 인위적인 행동양식인 'Ballard dance'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쟁을 수행하는 군인들과 남자들은 신체를 단련하고 무기사용법을 익히기 위해 격기형태의 무도를 시작하였고, 이는 군사적인 무도행위의 발달로 이어졌다...2024.10.26
-
논어와 21세기2024.11.071. 서론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모든 것이 인간관계에서 시작하고 끝이 난다. 그 과정 속에서 많은 갈등과 문제들이 발생하지만 2500년 전에 살았던 공자가 이미 이러한 인간관계에 대한 규칙을 인의예지(仁義禮智)에 의하여 집대성했었다. 예수, 석가모니, 부처와 함께 '세계 4대 성인'으로 불리는 공자와 제자들의 대화록을 담은 '논어'는 사람의 존엄성과 도리, 효도 등 도덕윤리에 대한 가르침이 담겨져 있다. 이 때문에 공자의 말씀은 유교라는 또 다른 이름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논어...2024.11.07
-
유교 2500년의 여행2024.10.271. 유교, 2500년의 여행 1.1. 인(仁): 사랑의 여정 유교에서 공자가 말하는 정직은 단순히 솔직하기만 한 언행이 아니라, 가족 간의 사랑과 신뢰에 기반을 두고 있다. 현대적인 시각에서 보면 이는 완전히 옳지 않다고 여겨질 수 있지만, 성문화된 법과 인륜 사이의 갈등은 여전히 존재한다. 유교에서는 효(孝)와 충(忠)을 중시하는데, 이는 때때로 다른 도덕적 가치나 자신의 이익과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 사회에서 3년상을 치르는 것은 인간적으로 칭찬할 만한 인내심을 요구하지만, 사회적·경제적 효율성 면에서는 비합...2024.10.27
-
대구가톨릭대학교2024.10.201. 논어 1.1. 공자의 지혜와 가르침 1.1.1. 군자의 모습 군자의 모습은 공자가 제시한 이상적인 인간상이다. 군자는 도덕적으로 수양된 인격체로, 자기 수양을 통해 성인(聖人)에 이르고자 하는 인물이다. 『논어』에 따르면 군자는 "먼저 그 말을 행하고, 뒤에 그 말을 하느니라"라며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이다. 또한 군자는 "배우고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하랴!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하랴! 사람들이 나를 알아주지 아니하여도 원망하지 않는다면 어찌 군자가 아니랴!"라고 하여 배움에 대한 열정과 타인에...2024.10.20
-
헌법재판의 종류2024.09.281. 조선시대의 법원 1.1. 지속적인 법전 편찬 1.1.1. 입법 과정 입법 과정은 오늘날과 다르게 조선 시대에서는 국왕의 명령이 법의 기본이었다. 국왕의 명령은 황제의 명령인 '조서'와 구별하여 '교서'라고 하였으며, 이것이 형식화된 것을 처음에는 '비답'이라고 하고 후에는 '율령'이라고 했다. 또한 각 관청에 내려진 국왕의 명령을 시행하는 뜻에서 '시행'이라고도 하였다. 국왕의 명령은 그 내용의 경중에 따라 '전교'와 '조칙'으로 구별하였는데, 세부적인 사항에 관한 것을 '전교'라고 하고 의정부에 명령하여 중외에 널리 ...2024.09.28
-
논어 학이편2024.09.141. 공자의 '학(學)'에 대한 사상 1.1. 『논어』 '학이(學而)' 편의 '학' 『논어』는 공자의 언행과 사상을 담은 대표적인 유교 경전이다. 『논어』의 첫 장인 '학이(學而)'편은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로 시작하며, 여기서 '학(學)'이 핵심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공자가 '학'을 자신의 사상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다. '학이시습지'에서 '학'은 '습(習)'과 연계되어 나타난다. 여기서 '학'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배운 것을 적절한 기회가 있을 때마다 반복하여 익...2024.09.14
-
논어와21세기2024.11.211. 서론 1.1. 논어와 21세기 논어와 21세기의 관계를 살펴보면,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나누었던 대화록인 논어는 2500년의 세월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동양의 정신세계에 깊이 뿌리박혀 있다"" 공자는 세속적인 권력과 명예를 추구하기보다는 인간의 본질적 가치와 도덕성을 강조하였으며, 그의 사상과 철학은 예수, 석가모니와 함께 '세계 4대 성인'으로 불릴 만큼 인류 보편적인 가치관을 제시하였다"" 특히 논어에 담긴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사상은 오늘날 인간관계에 대한 규범과 원칙을 제공하고 있...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