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임상영양학 영양판정2024.10.111. 임상영양학의 정의와 역할 1.1. 임상영양학의 개념 임상영양학은 질병의 치료, 관리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영양치료의 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영양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영양상태 평가, 진단 및 영양중재를 위한 기본 지식의 이해와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효율적인 영양치료 실시를 위하여 다양한 질환의 병인론, 진단방법 및 임상치료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2. 임상영양사의 역할 1.2.1. 임상영양치료 임상영양치료란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여 신체기능을 ...2024.10.11
-
유당불내증2024.11.211. 소화기계질환 1.1. 십이지장궤양 1.1.1. 원인 십이지장궤양의 원인은 위궤양과 비슷한데, 정신적 불안에 의한 스트레스로 위벽세포를 자극하여 위액 및 위산 분비가 증가하거나, 필수아미노산의 섭취부족으로 위 점막이나 십이지장점막의 방어능력 상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자극성 음식, 급히 먹는 습관, 불규칙한 식사, 과식, 커피 및 알코올 섭취나 약제 복용 및 흡연 등이 십이지장을 포함한 소화성 궤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십이지장궤양의 90-95%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존재가 보고되어 이 균의 감염이 주요...2024.11.21
-
아동 크론병2024.09.011. 크론병(Crohn's Disease) 1.1. 개요 크론병은 만성적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의 한 종류이다. 크론병은 소화기관의 어느 부분이든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회장과 결장에 많이 발생한다. 크론병은 불규칙한 재발과 관해를 특징으로 하며, 증상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크론병은 장기적인 질환으로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다. 이 질환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