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인체안의 전쟁 족보2024.10.211. 조선시대 전란과 질병의 발생으로 인한 인구통계의 변화 그리고 의학의 인식적 측면 1.1. 조선시대 인구 통계에 대한 고찰 조선시대 인구 통계에 대한 고찰이다. 과거엔 현재보다 더욱 인구가 즉 국력과 연결될 만큼 인구 수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던 시기였다. 그 이유는 당시 주된 생계유지 방법인 농업은 사용되는 토지 대비 확보되는 식량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고 한정된 영토와 자원은 국가의 발전을 저지하는 요인이었기 때문에 군사력을 기반으로 한 다른 국가의 자원을 빼앗아 오는 것이 자원을 확보하기 가장 쉬운 조건이었다. 조선시대...2024.10.21
-
생리학 족보2024.12.091. 조선시대 인구 통계와 의학의 변화 1.1. 조선시대 인구통계의 개관 조선시대 인구통계의 개관은 당시 국가의 실체를 보여주는 주요한 지표이다.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약 700만 명으로 추정되는 인구규모를 유지했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전쟁을 거치면서 큰 변화를 겪었다. 임진왜란 당시 약 20만 명의 민간인 사상자와 5만여 명의 포로가 발생했고, 병자호란 이후에도 천연두 등 질병의 확산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경신대기근(1670년)을 겪으며 인구 감소가 지속되었다. 17세기 중반 이후 조선의 인구는 기후변화와 기근...2024.12.09
-
생리학 족보2024.12.091. 조선시대 인구 및 의학의 변화 1.1. 조선시대 인구 통계의 변화 1.1.1. 조선시대 인구 동향 조선시대 인구 동향은 조선 건국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전란을 겪으면서 큰 폭의 인구 감소를 겪었다. 조선 건국 시 인구는 약 700만 명 정도로 추정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인해 약 20만 명의 사상자와 5만 명의 포로가 발생하여 전체 인구가 상당 부분 감소했다. 이후 병자호란 당시에도 인조의 항복으로 인한 군사적 피해는 크지 않았지만, 청의 급격한 군 철수 과정에서 천연두의 확산으로 많은...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