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6개
-
만0세발달평가2024.09.181. 영아의 발달 관찰 및 평가 1.1. 기본생활습관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은 영아가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영아는 교사의 도움을 받아 바른 습관을 익히고 실천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고 즐겁게 생활할 수 있다. 영아는 의자에 앉아 간식과 점심을 먹으며, 수저를 사용하여 스스로 먹기 시도를 한다. 교사의 도움을 받아 밥과 국, 깍두기 등을 골고루 잘 먹지만, 다른 반찬은 입에 넣었다 뱉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교사가 격려하며 도와주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또한 영아는 기저귀...2024.09.18
-
만2세 관찰일지2024.09.151. 만2세 1학기 관찰일지 1.1. 3월 기본생활 OO가 교사를 쳐다보며 '쉬!'라고 말하자 교사가 OO에게 '같이 화장실 다녀올까?'라고 제안하였다. OO는 '응!'이라고 대답한 뒤 화장실에 도착하자 '내가 해볼게~'라며 스스로 바지와 팬티를 내렸다. 교사가 'OO 이제 선생님 도움 없이도 옷 내리고 쉬 할 수 있구나'라고 말하자 OO는 방긋 웃으며 '혼자 할 수 있어!'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OO가 교사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배변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2. 4월 자연탐구 OO는 교사가 붙혀 놓은...2024.09.15
-
만0세발달평가2024.09.161. 영아의 발달 및 평가 1.1. 기본생활습관 1.1.1. 식사하기 만 0세 영아의 식사하기는 기본적인 생활습관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영아기에는 음식에 대한 경험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안정적이고 즐거운 식사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OOO는 간식시간에 자리에 앉아서 턱받이를 하고 간식을 먹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간에 턱받이를 빼고 싶어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하지만, 대체로 턱받이를 하며 맛있게 즐거운 표정으로 음식을 먹는다고 한다. 이전에는 대부분 교사가 영아에게 음식을 떠먹여 주...2024.09.16
-
"아동 뇌수막염 케이스 간호과정2024.09.20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뇌수막염(meningitis)은 주로 초여름쯤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에게 발병하는 질환이다. 크게 세균성 뇌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뇌막염, 진균성 뇌막염으로 나뉘며 예방주사로는 세균성 meningitis 밖에 예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발병되게 되면 빠른 시일 내에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뇌수막염에 대해 자세히 알고, 관련된 간호를 적절히 제공하여 질병의 악화를 막고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2. 연구 대상 및 기간 본 연...2024.09.20
-
만2세 관찰일지2024.09.221. 영아 발달 및 관찰 1.1. 기본생활 관찰 1.1.1. 식습관 식습관에 대한 내용은 영아의 성장과 건강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관찰 대상 영아들이 편식을 하거나 관심 없는 음식을 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비빔밥에서 호박을 골라내며 먹는 모습이나 김치를 먹지 않으려 하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또한 숟가락으로 장난치며 밥을 먹지 않는 영아도 있었다. 이러한 편식 행동은 영아기 발달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새로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나 특정 식재료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성...2024.09.22
-
문제행동영아 프로그램2024.09.191. 영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1.1. 영아기 사회・정서 발달 특징 1.1.1. 정서발달 영아는 출생 직후 울음과 웃음만으로 자신의 정서적 반응을 표현하다가 생후 1년 사이에 다양한 정서를 표현하게 된다. 출생 시의 정서는 흥분상태였다가 2~3개월이 되면 쾌와 불쾌의 감정으로 표현되며, 5~6개월이 되면 불쾌는 분노나 혐오의 감정으로 나뉜다. 만 3세경에는 성인처럼 대부분의 정서가 모두 나타난다. 이처럼 정서는 영아기에 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 서서히 발달하며, 영아-양육자 간의 관계는 이후 대인관계의 기초가 된다. 영아는 여러 ...2024.09.19
-
9월영아원아적응일지2024.09.1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는 변화하는 가족 구조, 맞벌이 가정 등 여성의 사회 활동과 이혼 증가 등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보육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은 1993년에 153,270명에서 2013년에는 1,486,980명으로 20년 사이에 약 9.7배로 폭발적인 증가를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2000년대를 전후로 보육과 교육의 기회 확대와 양질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영아기는 애착 ...2024.09.10
-
만1세 관찰일지2024.09.261. 영아 발달 관찰 및 평가 1.1. 신체 발달 1.1.1. 이동운동 및 소근육 발달 영아의 이동운동 및 소근육 발달은 매우 중요한 발달 영역으로, 이를 통해 신체 조절 능력과 독립성이 향상된다. 영아는 점차 스스로 걷고 뛰며 물건을 잡고 조작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영아는 만 1세가 되면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게 되며, 뛰기와 점프와 같은 이동운동 기술도 점차 발달한다. 예를 들어 문서 1에서 "교실을 가로질러 뛰어다님. 교사가 천천히 걸어 다니라고 이야기하니 천천히 걸어 다님. 교사가 안 보니 다시 빠르게 뛰어 다님. ...2024.09.26
-
만1세발달평가2024.10.051. 기본생활 1.1. 식사 및 배변 '1.1. 식사 및 배변' 영아의 식사와 배변에 관한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생후 1년 동안 영아는 다양한 음식을 맛보고 점차 자신의 몸 신호에 맞춰 스스로 식사와 배변을 하게 된다. 만 1세 영아 OOO는 학기 초 어린이집 적응 과정에서 가정에서의 식습관과 차이가 있어 어려움을 겪었다. 어린이집 입학 전 가정에서 외부 음식을 한 번도 접해 보지 않아 어린이집 음식에 전혀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점차 적응하며 급간식 시간을 알고 조금씩 어린이집 음식에 관심을 보이고 식사도구를 사용하여 먹...2024.10.05
-
오늘의집 자소서 목차2024.09.251.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 1.1. 보육교사의 자질 보육교사의 자질은 전문적 자질로서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이 필요하다. 반성적 사고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실천적 행위에 대해 사려 깊고 분석적인 사고로 미래의 행위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는 자연스런 과정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보육교사는 급격한 발달적 변화에 적절한 도움과 자극을 줄 수 있기 위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며, 유아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전문적 성장 및 전문적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보육교사는 발달수준을 고려해 보육과정을 구성하고...202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