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영적성장2024.09.211. 수치심의 이해 1.1. 수치심의 개념적 정의 수치심의 개념적 정의는 "몹시 부끄러운 마음, 창피, 굴욕, 치욕 혹은 불명예로써 버려지거나 비웃음을 받고, 폭로되어지는 현상과 동반되어지며, 혹은 타인에게 존중을 잃어버릴 때 나타난다. 특히 준비가 되기 전에 노출, 밝혀지며, 경멸을 당할 때, 수치심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수치심은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며 비판적이고 허용적이지 않는 시선으로 자신을 볼 때 느끼는 감정"이다. 즉, 수치심은 타인과 자신의 시선에 비춰진 자신의 부족함과 무가치함을 느끼는 인간과 인간 사이의 문제...2024.09.21
-
어떻게 하면 불교도 민간 신앙인들을 더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할 수 있을까2024.10.041. 변화하는 선교와 복음 전도 1.1. 복음 전도와 선교의 개념 정리 복음 전도와 선교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구분되는 개념이다. 복음 전도는 비기독교인에 대한 사역으로, 기독교인이 아닌 사람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서구 세계 밖의 이교도들이나 제3세계 민족에 대한 사역을 포함한다. 즉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거리가 있는 비기독교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여 개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반면 선교는 기독교회가 세상으로 보냄을 받아서 행하는 모든 활동을 일컫는다. 선교에는 복음 전도 ...2024.10.04
-
성숙한그리스도인의영적기초2024.10.101. 서론 1.1. 기독교 영성의 정의와 중요성 인간은 단순한 육체적 존재가 아니라 정신적이자 영적인 존재이다. 인간은 하나님과의 영적 관계 속에서 창조되었기 때문에, 하나님과의 교제와 교류를 통해 인간 본연의 모습을 회복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독교 영성은 거룩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적 성품에 교제하고 참여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 순종하며 살아가는 성령 안에서의 삶이며, 이를 위해서는 자기부인과 정욕을 끊어내고 성령의 열매를 맺는 영적 훈련이 필요하다. ...2024.10.10
-
다시 사명이다 - 최윤식 최현식2024.10.151. 다시, 사명이다 1.1. 새로운 미래를 향한 도전 새로운 미래를 향한 도전은 현재 우리가 직면한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고, 하나님께서 주신 사명을 발견하여 그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다. 지난 100년 동안 이루었던 모든 것을 20년 만에 이룰 수 있고, 그만큼의 발전을 다시 14년 만에, 그 다음에는 7년 만에 해 낼 수 있을 만큼 기술 발달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달이 개인의 삶, 직업,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변화하지 않으면 직장을 잃거나 적은 월급을 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변화...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