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보건교육학 생애주기별2024.10.211. 보건교육 계획안 1.1. 대상자 대상자는 00시 00동 예**어린이집 6세반 15명이다. 정기적인 구강관리가 필수적인 시기로, 대상자들은 충치가 가장 많이 생기는 시기인 만 6세에서 9세에 해당한다. 또한 약 6세부터 영구치가 자라나기 시작하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기이다. 영구치 충치의 경험률이 만 20세무렵 90%에 이를 정도로 예방처치가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충치 예방을 위해 올바른 양치질과 식이 조절, 정기적인 구강검진 및 불소도포 등 생애주기 중 아동기의 적절한 구강관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1.2. 학...2024.10.21
-
치아형태학2024.10.131. 치아형태학의 이해 1.1. 치아형태학의 목적 치아형태학을 배우는 목적은 환자에게 맞는 적절한 치과보철물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이다. 치아는 우리 몸에서 유일하게 뼈를 뚫고 나오는 조직으로, 무기질의 함유량이 많아 다른 기관들보다 단단하다. 치아가 상실된 경우, 인접 치아들을 깎아서 치과보철물을 제작하여 지대치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자연스러운 치아 외형을 재현하고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치아형태학을 이해하고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임플란트와 같은 인공치아를 식립할 때에도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도록 치아형태를 고려해야...2024.10.13
-
치수치료2024.11.201. 소아의 치과학 1.1. 소아 치과학의 특성 1.1.1. 유치 및 미성숙 영구치의 특징 유치는 영구치에 비하여 치관과 치근의 크기가 작으며, 치수강이 상대적으로 크고 근관이 넓다. 또한 치관과 치근의 해부학적 형태에도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유치의 특성과 기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치관의 경우, 유치는 영구치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지만 치관의 길이, 순설 폭경, 근원심 폭경 등이 모두 계승 영구치보다 작다. 특히 치경부는 후속 영구치보다 더 협착된 형태를 보인다. 이는 유치가 영구치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2024.11.20
-
2025 간호조무사2025.01.111. 2025 간호조무사 1.1. 구강생리학 치아는 구강 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태생 후 7~8주부터 유치(젖니)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2세반(30개월)이 되면 유치 20개가 완성된다. 유치와 영구치는 이후 교환되는데, 유치에서 영구치로 교환되는 시기는 대체로 6~7세 경이다. 영구치 중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치아는 지치(제3대구치, 사랑니)이다. 치아는 크게 치관과 치근으로 구분되는데, 치관은 구강 내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며 전치는 음식물을 자르는 기능을, 구치는 음식을 으깨는 기능을 담당한다. 치근은 치...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