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복사 이론을 통한 비접촉 온도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접촉 온도 측정 장비와 실험하여 비교값을 연구2024.10.041. 열전달 실험 1.1. 대류 및 복사 열전달 실험 1.1.1. 실험 목적 실험 A의 목적은 자연 대류가 진행되는 수평 실린더에 전력 투입량을 변화시키면서 그에 상응하는 표면온도의 변화에 대한 복합 열전도( Q _{복사} +Q _{대류}) 양을 결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유 대류 하에서 전력 투입량과 표면 온도간의 상관관계를 구하고자 한다. 실험 C의 목적은 바뀌는 공기 속도와 표면 온도에서 실린더 표면으로부터의 열 전달에 대한 강제 대류 효과를 결정하는 것이다. 강제 대류에 노출 된 실린더에 대한 공기 흐름과 표면 온도 사...2024.10.04
-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 1 온도2024.10.081. 실험 개요 1.1. 측정값 및 분석 실험 1 (물속 냉각)에서는 물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최고온도는 30.9℃이고 최종온도는 26.6℃로 나타났다. 37% 수준까지의 온도감소 시간은 3.6초, 5% 수준까지의 온도감소 시간은 8.1초, 1% 수준까지의 온도감소 시간은 10.4초로 측정되었다. 최대 온도변화율은 1.4℃/s로 관찰되었다. 실험 2 (공기 중 자연냉각)에서는 공기 중에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최종 실내온도는 26.6℃, 최고온도는 33.0℃로 나타났다. 37% 수준까지의 온도감소 시간은 79초로 측정되...2024.10.08
-
화공시스템 고체 열전도도 실험 결과보고서2024.10.061. 실험 장치 및 방법 1.1. 실험 장치 및 재료 실험 장치 및 재료는 다음과 같다. 열전도율 측정 실험장치, 시험편,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였다. 실험 준비물로는 SAMJIN UNICHEM 社의 STC-300C 모델의 열전도율 측정 실험장치를 사용하였다. 시험편으로는 SS(스테인리스 스틸)과 Al(알루미늄)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두께는 각각 2mm와 4mm이다. 또한 실험을 위해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하였다." 1.2.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험편을 장치의 a (2...2024.10.06
-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실험2024.10.251. 열전 소자를 이용한 발전 기술 개발 1.1. 서론 1.1.1. 탐구동기 2013년 탐구토론대회를 준비하며 대회의 주제인 '개발도상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있던 중 세계 에너지 협회에서 아프리카의 에너지 부족 문제를 가장 주요한 문제점으로 정했다는 기사를 접하게 되었다. '적정기술'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부합하게 다수의 개발도상국이 위치한 아프리카의 에너지부족을 해결 할 수 있는 발전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설정하고 탐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1.1.2. 탐구목표 탐구목표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펠티어 ...2024.10.25
-
열전달 부산대2024.11.271. 열전달 실험 1.1. 전도 실험 1.1.1. 구리 시편 구리 시편의 열전도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구리의 열전도계수는 1111.2W/m·K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구리의 열전도계수 401W/m·K와 비교하여 약 2.8배 높게 측정된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에서는 온도 측정 시 1번부터 9번까지 총 9개의 온도계를 설치하였고, 이 중 4번부터 6번까지의 온도 측정값을 이용하여 열전도계수를 계산하였다. 하지만 열전달이 1차원 정상상태로 이루어진다는 가정 하에서 실험을 진...2024.11.27
-
탄소나노튜브 실험2025.02.091. 서론 1.1. 탄소나노튜브의 이론적 배경 및 기본 물성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나노크기의 흑연(탄소 동소체)면이 실린더 구조로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가지고 크기나 형태에 따라 독특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거대분자(macromolecule)이다. 길이와 지름의 비가 132,000,000:1에 이르는 나노튜브도 만들어졌는데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물질 중 가장 높은 값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특히 열전도율 및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매우 특이하여 주로 탄소 섬유로 만들어지는 야구방망이나 골프채와 같은 다양...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