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진공보온 용기 제조2024.09.261. 써모스 보온병의 성공사례 1.1. 서론 1.1.1. 선정동기 100년 전통의 써모스 보온병의 성공 사례를 조명하고자 한다. 세계 최초로 보온병을 상품화한 써모스 브랜드는 1904년 독일에서 처음 유리 보온병을 제조하면서 탄생하였다. 이후 극한 환경에서도 활용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고, 최근 들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온병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써모스 보온병의 제품 및 마케팅 전략, 환경 분석 등을 통해 현재 보온병 시장에서의 위치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2024.09.26
-
고체의 비열 측정2024.09.25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열량계를 이용하여 혼합방법으로 고체의 비열을 측정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열량계 내부에 실온의 물과 가열된 시료를 넣어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시료의 비열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체 물질의 열적 특성을 이해하고 비열 측정 실험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1.2. 실험 기구 실험 기구로는 열량계, 온도계, 시료(황동, 구리, 알루미늄 등), 비이커, 천칭, 알코올램프가 사용되었다. 열량계는 열적으로 차단된 용기로, 시료와 물을 담아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온도계...2024.09.25
-
중화열측정2024.09.191. 엔탈피 개요 1.1. 엔탈피의 정의 엔탈피는 계의 내부 에너지와 부피를 차지하여 얻을 수 있는 에너지(부피와 압력의 곱)의 합으로 정의된다. 즉, 엔탈피는 열역학계의 성질로, 계의 내부 에너지와 계가 차지하는 부피와 압력에 의해 결정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대기압이나 수압과 같이 일정한 압력에 둘러싸인 계를 다룰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상태함수이다. 엔탈피는 기호 H로 나타내며, 국제단위계상에서는 줄이, 영국 열량 단위에서는 칼로리가 엔탈피를 나타내기 위한 단위로 사용된다. 계의 내부 에너지를 직접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계의 ...2024.09.19
-
산과염기중화반응2024.10.111. 서론 1.1. 실험 목적 및 이론 이 실험의 목적은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NaOH) 0.1몰을 여러 가지 산(강산, 약산)으로 중화시킬 때 발생하는 중화열을 측정하여 반응열에 대한 이해와 열량 측정의 개념을 알아보는 것이다. 중화반응이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이다. 산과 염기가 반응할 때 수소 이온(H+)과 수산화 이온(OH-)이 결합하여 물(H2O)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알짜 이온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H+(aq) + OH-(aq) → H2O(l) 중화반응에서는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2024.10.11
-
화상 sbar2024.10.221. 광학기기를 이용한 유동장 측정 1.1. 실험 목적 대표적인 광학 계측 장비 중 하나인 PIV를 이용하여 유속 측정을 통해 유동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많은 공학적 문제에서 유동 현상을 해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유동의 속도계측을 위해 피토관, 열선, 그리고 광학 계측기기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중 광학 계측기기는 유동장 내에 센서를 삽입하지 않아 유동장 방해가 없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실험 배경 많은 공학적 문제에 있어서 유동 현상을 해석...2024.10.22
-
산소의 전기 음성도2024.10.091. 산화수의 정의와 구하는 방법 1.1. 산화수의 정의 산화수란 하나의 물질(홑원소 물질, 분자, 이온 화합물 등)에서 전자의 교환이 완전히 일어났다고 가정하였을 때 물질을 이루는 특정 원자가 갖는 전하수를 말하며 산화 상태(oxidation state)라고도 한다. 즉, 산화수는 원자가 갖고 있는 가상적인 전하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자의 이동이 없는 홑 원자의 경우 산화수는 0이 된다. 단원자 이온은 그 이온의 전하와 산화수가 같고, 다원자 이온의 경우 원자들의 산화수의 총합은 다원자 이온의 전화수와 같다. 중성 분자의 경우 ...2024.10.09
-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 1 온도2024.10.081. 실험 개요 1.1. 측정값 및 분석 실험 1 (물속 냉각)에서는 물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최고온도는 30.9℃이고 최종온도는 26.6℃로 나타났다. 37% 수준까지의 온도감소 시간은 3.6초, 5% 수준까지의 온도감소 시간은 8.1초, 1% 수준까지의 온도감소 시간은 10.4초로 측정되었다. 최대 온도변화율은 1.4℃/s로 관찰되었다. 실험 2 (공기 중 자연냉각)에서는 공기 중에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최종 실내온도는 26.6℃, 최고온도는 33.0℃로 나타났다. 37% 수준까지의 온도감소 시간은 79초로 측정되...2024.10.08
-
중화반응 실험2024.12.291. 중화반응 및 열량 측정 1.1. 중화반응의 정의 및 이론 1.1.1. 산과 염기의 반응 산과 염기의 반응은 화학 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은 수용액 중에서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이며, 염기는 수용액 중에서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이다. 이러한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을 생성하는 반응을 중화 반응이라고 한다. 산-염기 반응의 대표적인 예로는 수산화나트륨(NaOH)과 염산(HCl)의 반응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은 염기, 염산은 산의 역할을 한다. 반응이 진행되면 수소 ...2024.12.29
-
물리화학실험 용해열2024.11.251. 용해열의 측정 1.1. 실험 목적 무기물질의 용해열 측정을 통하여 열화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용해열은 용질 1몰이 용매에 녹을 때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량을 말하며, 물질의 용해 과정에서 흡열 또는 발열이 나타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열량계를 사용하여 NaOH와 KCl의 용해열을 측정하고자 한다. 1.2. 용해열의 개념 용해열은 일정한 압력과 온도에서 용질이 용매 안으로 확산되어 균일하게 섞이는 용해 과정에서 생기는 엔탈피의 변화량이다. 용질 1몰이 용매에 녹을 때 발생하는 열량을...2024.11.25
-
인하대 일반화학실험2024.09.051. 열화학 - 엔탈피 측정 1.1. 실험 목적 화학반응 및 물리적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열의 흡수 또는 방출을 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열화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1.2.1. 엔탈피 화학 엔탈피 화학에서는 화학반응 및 물리적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열의 흡수 또는 방출을 다룬다. 이때 "열"이란 일정한 압력에서 반응이 일어날 때 반응 전후의 온도를 같게 하기 위해 계가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에너지)을 의미한다. 이러한 열을 엔탈피라고 부...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