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9개
-
물리학 정리2024.09.121. 기본 물리량과 단위 1.1. 길이, 시간, 질량의 정의 길이(l)의 단위인 미터(m)는 주어진 시간간격 동안 빛이 진공 속을 진행한 거리로 정의된다. 이는 균일하고 고정불변한 실험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길이 단위를 확립하고자 함이다. 즉, 길이의 정의는 시간과 빛의 속도를 통해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기준을 제공한다. 시간(t)의 단위인 초(s)는 세슘-133 원자에서 나오는 빛의 진동으로 정의된다. 이는 이전에 사용된 역법이나 천문학적 관측 등의 방법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인 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국제 표준...2024.09.12
-
중화열측정2024.09.191. 엔탈피 개요 1.1. 엔탈피의 정의 엔탈피는 계의 내부 에너지와 부피를 차지하여 얻을 수 있는 에너지(부피와 압력의 곱)의 합으로 정의된다. 즉, 엔탈피는 열역학계의 성질로, 계의 내부 에너지와 계가 차지하는 부피와 압력에 의해 결정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대기압이나 수압과 같이 일정한 압력에 둘러싸인 계를 다룰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상태함수이다. 엔탈피는 기호 H로 나타내며, 국제단위계상에서는 줄이, 영국 열량 단위에서는 칼로리가 엔탈피를 나타내기 위한 단위로 사용된다. 계의 내부 에너지를 직접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계의 ...2024.09.19
-
기계공학과 역학 정리 및 대학원 면접 대비2024.10.051. 어닐링 처리 1.1. 어닐링 어닐링은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일정 시간 유지한 다음 적절한 속도로 냉각하는 처리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재료의 경도를 감소시키고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냉간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원하는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닐링은 재료를 오스테나이트 영역으로 가열한 후 서냉함으로써 재료의 연화와 가공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아공석강의 경우 Ac3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고, 과공석강은 Ac1과 Acm 사이의 온도로 가열한 뒤 변태 영역에서 서냉한다. 이를 통해 강의 연화와 가공성...2024.10.05
-
공조냉동기계기사2024.10.061. 열역학 1.1. 열역학의 개념 열역학이란 물질의 열과 일의 전환관계를 다루는 학문이다. 열역학은 모든 자연 현상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열역학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열역학은 계(system)와 주위(surroundings)로 구분되며, 계 내부에서 열과 일의 전환과정을 설명한다. 계는 물질과 에너지의 집합체로 볼 수 있으며, 계와 주위 사이에 열과 일의 교환이 있다. 열역학에서는 물질이나 에너지의 흐름에 관한 기본법칙을 제시한다. 열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상태량을 정의한다. 대표적인 상...2024.10.06
-
계면활성제 실험2024.10.161. 계면활성제와 에멀젼 1.1. 계면활성제의 정의와 특성 계면활성제는 한 분자 내에 각각 소수성과 친수성을 띄는 원자단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물질이다. 주로 친수성 부분에는 암모늄 이온과 같은 양이온,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카복실기와 같은 음이온 그리고 하이드록실기와 같은 중성 원자단이 있다. 그리고 소수성인 꼬리 부분에는 비극성인 긴 알킬사슬이 주로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분자를 특별히 계면활성제라고 하는 것은 일부가 물과 공기 계면에 흡착돼서 액체의 표면장력을 감소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2024.10.16
-
물리1 에서 열역학과 관련하여 건축의 에너지 효율에 관한 리포트2024.10.221. 열역학의 기본 개념 1.1. 열역학이란 열역학이란 열(열 에너지)과 역학적 일(기계적 에너지)의 기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열 현상을 비롯해서 자연계 안에서 에너지의 흐름을 통일적으로 다루는 물리학의 한 분야이다. 즉, 열역학이란 에너지를 다루는 학문이며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이나 사이클을 이용하여 경제성 및 효율성을 추구하는 추상적인 학문을 말하며 항공 및 자동차 산업 등 에너지 소비와 관련이 깊은 학문이다." 1.2. 열의 개념 열이란 물질의 내부 구성입자들의 운동이다. 일상생활에서 열은 뜨거움이라는 ...2024.10.22
-
미분적분학2024.10.231. 미분과 적분의 기본 개념 1.1. 미분의 정의와 특성 미분이란 어떤 운동이나 함수의 순간적인 움직임을 서술하는 방법이다. 수학에서는 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때, 어떤 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때 등등 널리 사용된다. 어떠한 함수 f(x)가 있을 때 f(x)의 도함수 f'(x)는 f(x)의 순간변화율의 함수값을 가지므로 극한을 사용하여 f'(x)= lim _{h-> 0} {{f(x+h)-f(x)} over {h}} 라는 간단한 식을 얻을 수 있다. 모든 x에 대해서 f'(x)의 값이 존재한다면 f(x)는 미분가능하다는 뜻이며, f'...2024.10.23
-
일반화학 정리2024.10.281. 물질의 상태와 구조 1.1. 화학적 변화의 종류 화학적 변화란 물질의 화학적 성질이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화학적 변화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 화합(Combination)이다. 화합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결합하여 새로운 물질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예를 들어 탄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반응이 화합이다. 화학식으로는 "A + B → AB"와 같이 표현된다. 둘째, 분해(Decomposition)이다. 분해는 하나의 물질이 둘 이상의 물질로 나누어지는 반응이다. 예를 들어 이산화...2024.10.28
-
현대물리의 이해2024.10.131. 물리학사: 과학혁명과 패러다임의 변화 1.1. 제1과학혁명: 코페르니쿠스와 지동설 1543년 폴란드의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며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는 지동설을 주장하는 저서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를 발간했다. 이는 당대까지 지배적이었던 지구중심설을 뒤엎는 혁명적인 주장이었다. 전통적인 지구중심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태양과 다른 천체들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고 보았다. 이 설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체계화된 것으로, 천구의 위치와 운동을 복잡한 원과 원의...2024.10.13
-
공조냉동기계기사2024.10.131. 열역학 1.1. 열과 일 열과 일은 상태변화의 경로에 의존되며, 처음과 마지막의 상태만으로는 결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량과 열량의 미소량은 성질의 미소량과는 달라서 어떤 함수의 완전미분으로 나타낼 수는 없다. 열과 일은 과정함수로서 편미분으로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부에너지 u, 엔탈피 h, 엔트로피 s는 과정함수가 아니다. 열과 일은 계의 경계에서 관찰되며, 전달된 일과 열의 합은 항상 일정하지 않다. 온도, 압력, 밀도, 비체적 등은 질량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는 종량성 상태량이지만, 열과 일은 상태량이 아니다.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