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고1 수학으로 설명할수있는 자연제해2024.09.181. 열역학 법칙 1.1. 열역학 제1법칙 1.1.1. 에너지의 보존 에너지의 보존은 열역학 제1법칙의 핵심 원리이다. 열역학 제1법칙에 따르면 에너지는 창조되거나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형태만 변화한다. 즉, 에너지의 총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세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가 존재하는데, 원자핵 에너지, 복사 에너지, 소리 에너지, 화학 에너지, 기계 에너지, 전기 에너지, 운동 에너지, 위치 에너지, 열에너지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에너지들은 서로 전환될 수 있는데, 그 과정에서 에너지의 총량은 ...2024.09.18
-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위한 가변속 발전기 (고정속 발전기와의 차이정 포함2024.10.071. 고형연료화(RDF&RPF) 1.1. 고형연료화기술 개발 추진 배경 산업화를 통한 고도의 경제발전과 급속한 인구증가 등으로 석탄 및 석유 등의 화석연료 사용량이 급증하였다.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인해 지구온난화 등의 지구환경 문제가 점점 심각해져 가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천연자원의 고갈이라는 범지구적인 차원의 문제에 부딪치게 되었다. 지구 환경 파괴를 막고 천연자원의 사용 년한을 늘이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폐자원을 이용한 에너지화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 국내외에서는 사용 후 버려지는 가용...2024.10.07
-
전류2024.11.141. 전류와 저항 1.1. 전류와 전류 밀도 전류는 단위 시간 동안 흐르는 전하량으로 정의되며, 그 SI 단위는 단위 시간(s)당 쿨롱(C) 또는 암페어(A)이다. 암페어(A)는 SI 단위계의 기초 단위이다. 전류는 시간과 전하량이라는 스칼라량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 역시 스칼라량으로 표현된다. 전류의 방향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한데, 전자의 이동 방향과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이다. 전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지만, 전류는 원래 양극에서 음극으로 향하는 전하의 흐름을 의미하기 때문에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전류 밀도...2024.11.14
-
유체기계 정리2024.11.051. 열역학 1.1. 열역학 제 0 법칙 열역학 제 0 법칙은 열평형의 법칙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서로 다른 온도의 두 물체가 접촉할 때 열이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이동하여 두 물체의 온도가 같아지는 현상을 설명한다. 즉, 열평형 상태에 있는 물체들은 동일한 온도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역학 제 0 법칙은 다음과 같다. 서로 다른 온도의 두 물체 A와 B가 열평형 상태에 있고, 물체 B와 C가 열평형 상태에 있다면, 물체 A와 C도 열평형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온도라는 개념을 정의할 수 있게 ...2024.11.05
-
감쇠2024.11.271. RLC회로의 감쇠진동 1.1. RLC회로의 감쇠진동 기술 회로 내 저항이 존재하면 전체 회로 내 전자기 에너지(전기 에너지와 자기 에너지의 합)는 일정하지 않다. 그 이유는 저항에서 전자기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이때 에너지 손실 때문에 전하와 전류, 퍼텐셜차의 진동은 진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렇게 저항에 의해 파동 에너지가 열에너지와 같은 다른 에너지로 변환되어 진폭이 감소하는 진동을 감쇠진동(damped oscillation)이라고 한다. 1.2. 저항소모율 RLC회로의 저항소모...2024.11.27
-
heating value2024.09.101. 실험 개요 및 배경 1.1. 연료의 연소 과정과 발열량 연료의 연소 과정과 발열량은 다음과 같다. 연료의 연소 과정은 화학반응을 통해 연료와 산화제(주로 산소)가 결합하면서 열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이다. 연소 반응은 발열반응으로, 연료 중의 화학 결합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양을 연료의 발열량 또는 열량이라고 한다. 발열량은 연료의 단위 질량 또는 단위 몰당 연소 반응에서 생성된 열에너지의 양으로 정의된다. 발열량은 연소 반응 전후의 엔탈피 변화량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