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중화열측정2024.09.191. 엔탈피 개요 1.1. 엔탈피의 정의 엔탈피는 계의 내부 에너지와 부피를 차지하여 얻을 수 있는 에너지(부피와 압력의 곱)의 합으로 정의된다. 즉, 엔탈피는 열역학계의 성질로, 계의 내부 에너지와 계가 차지하는 부피와 압력에 의해 결정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대기압이나 수압과 같이 일정한 압력에 둘러싸인 계를 다룰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상태함수이다. 엔탈피는 기호 H로 나타내며, 국제단위계상에서는 줄이, 영국 열량 단위에서는 칼로리가 엔탈피를 나타내기 위한 단위로 사용된다. 계의 내부 에너지를 직접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계의 ...2024.09.19
-
화학생물공학기초실험2024.09.271. 반응열 측정과 Hess의 법칙 1.1. 반응열의 정의와 종류 반응열이란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거나 흡수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반응열은 주로 1몰의 물질이 반응할 때 출입하는 에너지로 표현되며, J/mol이나 kJ/mol과 같은 단위를 사용한다. 반응열에는 생성열, 연소열, 중화열, 용해열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생성열은 1몰의 화합물이 그 성분 원소의 순수한 물질에서 생길 때 발생 또는 흡수하는 열량을 의미한다. 연소열은 물질 1몰이 완전히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나타낸다. 중화열은 산과 염기가 각각 1g ...2024.09.27
-
열역학 실험 중화열 측정2024.10.011. 중화열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강염기 1mol을 강산으로 중화시킬 때 발생되는 열량을 측정하는 데 있다. 즉, 25℃에서 묽은 용액 속에서 강염기 1mol을 강산 1mol로 중화시킬 때 발생하는 57,200 J의 열량을 중화열이라고 하며, 이러한 중화열을 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실험의 주요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화공열역학 실험 화공열역학 실험은 화학반응에서 발생하는 열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화학 반응의 에너지 변화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화학 반응에서는 반...2024.10.01
-
진공보온 용기 제조2024.09.261. 써모스 보온병의 성공사례 1.1. 서론 1.1.1. 선정동기 100년 전통의 써모스 보온병의 성공 사례를 조명하고자 한다. 세계 최초로 보온병을 상품화한 써모스 브랜드는 1904년 독일에서 처음 유리 보온병을 제조하면서 탄생하였다. 이후 극한 환경에서도 활용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고, 최근 들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온병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써모스 보온병의 제품 및 마케팅 전략, 환경 분석 등을 통해 현재 보온병 시장에서의 위치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2024.09.26
-
고체의 비열 측정2024.09.25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열량계를 이용하여 혼합방법으로 고체의 비열을 측정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열량계 내부에 실온의 물과 가열된 시료를 넣어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시료의 비열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체 물질의 열적 특성을 이해하고 비열 측정 실험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1.2. 실험 기구 실험 기구로는 열량계, 온도계, 시료(황동, 구리, 알루미늄 등), 비이커, 천칭, 알코올램프가 사용되었다. 열량계는 열적으로 차단된 용기로, 시료와 물을 담아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온도계...2024.09.25
-
물리화학실험 용해열2024.11.251. 용해열의 측정 1.1. 실험 목적 무기물질의 용해열 측정을 통하여 열화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용해열은 용질 1몰이 용매에 녹을 때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량을 말하며, 물질의 용해 과정에서 흡열 또는 발열이 나타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열량계를 사용하여 NaOH와 KCl의 용해열을 측정하고자 한다. 1.2. 용해열의 개념 용해열은 일정한 압력과 온도에서 용질이 용매 안으로 확산되어 균일하게 섞이는 용해 과정에서 생기는 엔탈피의 변화량이다. 용질 1몰이 용매에 녹을 때 발생하는 열량을...2024.11.25
-
중화반응 실험2024.12.291. 중화반응 및 열량 측정 1.1. 중화반응의 정의 및 이론 1.1.1. 산과 염기의 반응 산과 염기의 반응은 화학 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은 수용액 중에서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이며, 염기는 수용액 중에서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이다. 이러한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을 생성하는 반응을 중화 반응이라고 한다. 산-염기 반응의 대표적인 예로는 수산화나트륨(NaOH)과 염산(HCl)의 반응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은 염기, 염산은 산의 역할을 한다. 반응이 진행되면 수소 ...2024.12.29
-
발열반응 흡열반응 엔탈피2024.08.221. 서론 1.1. 실험의 배경 실험의 배경은 고체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의 중화반응을 통해 반응열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Hess의 법칙을 확인하는 것이다. 화학반응에 수반하여 방출 또는 흡수되는 열량을 반응열이라 하며, 이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차이를 의미한다. 발열반응은 반응물의 에너지보다 생성물의 에너지가 낮아 열이 방출되고, 흡열반응은 반응물의 에너지보다 생성물의 에너지가 높아 열을 흡수한다. 이러한 열화학적 변화를 통해 엔탈피 개념을 도입할 수 있으며, 계와 주위의 상호작용에 따라 닫힌계와 열린계로 구분된다. 이번 ...2024.08.22
-
발열반응 흡열반응 이용2024.08.221. 서론 1.1. 실험 배경 및 목적 실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반응물이 생성물이 될 때 열이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의 출입은 엔탈피 변화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여러 화합물을 물 또는 식초와 반응시켜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을 관찰하고, 이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열량과 비열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열량계를 이용하여 화합물이 물에 용해될 때 발생하는 용해열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화학반응과 에너지의 관...2024.08.22
-
heating value2024.09.101. 실험 개요 및 배경 1.1. 연료의 연소 과정과 발열량 연료의 연소 과정과 발열량은 다음과 같다. 연료의 연소 과정은 화학반응을 통해 연료와 산화제(주로 산소)가 결합하면서 열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이다. 연소 반응은 발열반응으로, 연료 중의 화학 결합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양을 연료의 발열량 또는 열량이라고 한다. 발열량은 연료의 단위 질량 또는 단위 몰당 연소 반응에서 생성된 열에너지의 양으로 정의된다. 발열량은 연소 반응 전후의 엔탈피 변화량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