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소화기계 해부생리2024.09.181. 소화기계의 해부와 기능 1.1. 소화기계의 구조 1.1.1. 소화관의 구성 소화관은 구강에서 항문에 이르는 약 9m의 관으로,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층, 장막층의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막층은 상피세포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효소와 점액을 분비하는 선을 가지고 있다. 점막하조직은 소화관 벽을 지지하고 혈관, 림프관, 신경을 포함하고 있다. 근육층은 내측의 윤상근과 외측의 종주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화관의 운동을 담당한다. 장막층은 소화관의 바깥층으로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2024.09.18
-
구강생리학 국가고시2024.11.011. 구강 생리학 1.1. 구강의 해부학과 기능 1.1.1. 치아 치아는 구강의 핵심 기관으로, 저작, 발음, 심미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치아는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 성분의 화학적 특성과 기능이 다르다. 법랑질은 치아의 표면층으로 95-97%가 무기질이며, 주성분은 칼슘과 인 화합물인 hydroxyapatite이다. 법랑질은 치아의 가장 단단한 부분으로 치아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아질은 치수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 61-71%가 무기질이며, 주성분 역시 h...2024.11.01
-
치위생 구강생리학2024.11.251. 구강생리학 1.1. 치아와 치주조직의 생리 치아는 단순한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구강의 생리학적 구조와 깊은 관련이 있다. 치아와 치주조직은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구강 내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먼저, 치아의 주성분인 무기질을 살펴보면, 법랑질은 95~97%의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아질은 61~71%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 법랑질과 상아질의 주요 무기질 성분은 칼슘과 인이다. 이들 칼슘과 인은 주로 hydroxyapatite(HA) 결정의 형태로 존재한다. 한편, 치아의 유기질 성분은 단...2024.11.25
-
복부와 위장관계 건강사정2024.11.17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식도 1.1.1. 구강 구강은 연구개, 경구개, 혀, 치아, 치은, 구강점막으로 구성되며, 저작과 타액 분비의 기능을 담당한다. 먼저 연구개와 경구개는 구강 천장을 형성하여 음식물의 흐름을 조절한다. 혀는 미각을 담당하며 음식 덩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치아와 치은은 저작 기능을 수행하며, 구강점막은 미각과 경감각을 담당한다. 구강의 타액 분비는 아밀라아제라는 소화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음식물의 소화를 시작하는 역할을 한다. 타액은 구강 내 pH를 조절하고, 구강 점막을 습윤...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