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교재 선정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2024.09.161. 서론 1.1. 교재 선정의 중요성 오늘날 교육에서 교재는 교육의 내용이자 학습자와 교사를 연계해 주고 있는 매개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교재의 가장 큰 기능은 교수-학습 자료의 제공이겠지만 그 외에도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과정, 교수법과 유기적인 관계가 있다고 한다. 특히 국외의 한국어 교육 같은 경우는 외국이라는 환경속에서 실생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 즉 전문성이 부족한 교사가 담당한다는 것을 고려하자면, 교재는 어쩌면 교육 전체의 성패를 좌우하는 교육의 지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1.2...2024.09.16
-
으면 문법 교안2024.11.011. 수업 교안 작성 1.1. 여행 준비하기 여행 준비하기는 여행을 즐겁고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히 초보 여행자의 경우 여행 준비를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행을 계획할 때는 먼저 여행 목적지와 일정을 결정하고, 필요한 서류와 준비물을 체크해야 한다. 주요 준비 사항으로는 항공권 및 숙박 예약, 여권과 비자 확인, 여행자 보험 가입, 여행지 정보 수집, 필수 지참품 준비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행지와 일정을 결정할 때는 가고 싶은 곳과 체류 기간,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2024.11.01
-
으면 문법 교안지도2024.11.011. 모의수업 교안 A/V-아서/어서(이유) 1.1. 단원명 및 학습 목표 주요 학습 문법은 'A/V-아서/어서(이유)'로, 이는 이유를 나타내는 문법 형태이다. 이 문법을 학습하여 학습자들은 'A/V-아서/어서'의 의미, 형태, 기능을 이해하고 'A/V-아서/어서(이유)'의 표현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 단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학습 목표를 가진다: 'A/V-아서/어서'의 의미, 형태, 기능을 이해하고 'A/V-아서/어서(이유)'의 표현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다. 1.2. 수업 단계 1.2.1. 도입 ...2024.11.01
-
-아요/어요2024.10.221.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1.1. PPP 모형의 정의 및 특성 PPP 모형은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생산(Production)'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언어 교수·학습 방법이다. PPP 수업 모형은 교사 중심의 학습 절차로 언어 학습을 일종의 습관 형성의 과정이라고 보고, 교사가 학습 목표가 되는 언어 항목을 제시하면 학습자들이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강화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학습 활동이다. 이 모형은 "도입 → 제시 → 연습 → 활용 → 마무리"의 5단계로 구성된다. PPP 모형의 장점은...2024.10.22
-
한국어 교육실습 지도안2024.09.061. 수업 지도안 1.1. 세종한국어 1B 1과 무슨 음식을 좋아해요? 이 수업은 '무슨'이라는 문법을 사용하여 명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질문하고 대답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먼저 교사는 지난 시간에 배운 '-고 싶다' 표현을 복습하면서 학습자들의 관심을 수업 내용과 연결시킨다. 그리고 다양한 한국 음식의 그림을 보여주며 '무슨 음식을 좋아해요?'라는 질문을 함으로써 오늘 배울 문법 구조를 자연스럽게 노출시킨다. 이어서 교사는 '무슨 + N' 구조의 의미와 기능을 설명한다. '무슨'은 명사 앞에 사용되어 그 명사에 ...2024.09.06
-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 교재구성표2024.09.08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 개발 1.1. 교재 선택 및 학습자 수준 확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를 개발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학습자의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학습자의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고는 적절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선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재 개발자는 학습자의 연령, 모국어, 한국어 능력, 학습 동기 등을 면밀히 조사하여 학습자 수준을 확인해야 한다. 학습자의 수준을 확인한 후에는 적절한 교재를 선택해야 한다. 한국어 교재는 교육 과정 및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므로, 학습자...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