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신소재프로젝트12024.09.271. 실험 이론 1.1. 금속의 미세구조 관찰 1.1.1. 시편 준비 광학 현미경으로 미세조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시편의 표면을 거칠게 긁힌 자국이 없는 완전한 평면으로 만든 후 각 재질, 열처리 상태에 맞는 부식액으로 부식(etching)시켜야 한다. 이 과정을 5개의 공정으로 나누면 절단(sectioning), 마운팅(mounting), 연마(grinding), 연삭(polishing), 부식(etching)등이다. 이 공정 중 어느 한 과정에서도 잘못 처리하면 실제 조직이 아닌 엉뚱한 조직으로 변하거나 관찰하기에 불량한 상...2024.09.27
-
신소재프로젝트32024.09.191. 스테인리스강의 특성과 열처리 효과 1.1.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와 특성 1.1.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 유형이다.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우수한 내식성과 내열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합금강으로는 STS304, 305, 316, 321 등이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강은 가정용품, 산업용 배관 및 선박, 건축 및 건축 정면에 사용된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철(Fe)에 크롬(Cr)과 니켈(Ni)을 첨가하여 내식성이 향상된 소재이...2024.09.19
-
금속의 미세조직 관찰 실험2024.09.121. 금속의 미세조직 관찰 1.1. 실험 목적 금속의 미세조직을 관찰하는 실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금속학적 원리를 기술 분야에 적용하려면 금속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이를 통해 제조과정에서 일어나는 조직의 변화와 재료의 조직과 성질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속의 내부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현미경이며, 이를 통해 금속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을 볼 수 있고, 여러 가지 상과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속의 조직에 미치는 열처리, 가공 및 기타 처리의 영향을 알 수 있고,...2024.09.12
-
합금의 구조(조직구성) 3가지2024.10.201. 금속 재료의 미세조직 관찰 및 기계적 특성 평가 1.1. 배경지식 1.1.1. 탄소강의 정의와 용도 탄소강은 철과 합금으로 탄소 함량이 0.02~2.11%인 강을 말한다. 순철에 탄소를 넣어 철의 강도를 높인 합금이며, 여기에 크롬과 같은 특정 성분을 섞으면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특수강이 된다. 탄소함유량에 따라 극저탄소강(0.02~0.12%), 저탄소강(0.13~0.20%), 중탄소강(0.21~0.50%), 고탄소강(0.51~2.11%)으로 구분된다. 극저탄소강은 냉간 가공하여 강도를 높여 사용하며, 저탄소강은 절삭 가공...2024.10.20
-
합금의 구조(조직구성) 3가지 및 조직의 명칭2024.10.201. 서론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문제들로 인해서 더 좋은 특성을 가진 새로운 재료를 원하고 있다. 그 중 마그네슘이 앞으로 미래에 각광 받을 재료라는 것은 자명하다. 마그네슘은 그동안 성형이 어렵고, 활성금속이어서 쉽게 부식되는 등의 이유로 철강과 알루미늄과 비교하여 관심이 적었던 재료였다. 하지만 지금은 기술의 발전으로 마그네슘을 주조하고 성형하는 것이 어렵지 않게 되었고, 이를 통해서 마그네슘의 낮은 비중, 높은 비강도 등 우수한 특성들이 산업에서 이용되기 시작했다. 마그네슘의 낮은 강도와 내식성 등을 향상시키...2024.10.20
-
합금의 조직구성 3가지 및 조직의 명칭2024.10.201. 금속재료의 조직관찰 및 기계적 특성 평가 1.1. 금속재료의 구조와 특성 금속재료의 구조와 특성은 재료의 특성을 결정하는 근본이 된다. 금속재료는 원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들의 배열 및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특성을 보인다. 금속재료는 일반적으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원자들은 결정 격자를 형성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결정구조는 금속재료의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금속재료의 결정구조는 주로 면심입방구조(FCC), 체심입방구조(BCC), 육방밀집구조(HCP)...2024.10.20
-
금속의 강화기구5가지2024.10.201. 서론 1.1. 실험 주제: 알루미늄 합금의 석출 및 경화 알루미늄 합금의 석출 및 경화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에 다른 금속 원소를 첨가하여 알루미늄의 성질을 개선한 합금이다. 그중에서도 구리가 첨가된 Al-Cu계 알루미늄 합금은 대표적인 석출경화형 합금이다. 이 합금은 용체화 처리와 시효처리를 통해 석출경화 현상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강도와 경도가 크게 향상된다. Al-Cu계 합금에서의 석출경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합금을 약 500°C 부근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용체화 처리를 한다. 이때 Cu 원소가 Al 기지...2024.10.20
-
반도체 공정2024.10.201. 반도체 제조 공정 개요 1.1. 웨이퍼 제조 공정 웨이퍼 제조 공정은 반도체 제품 생산의 첫 번째 단계로, 실리콘을 단결정으로 성장시켜 얇게 슬라이싱한 웨이퍼를 제작하는 과정이다. 웨이퍼는 실리콘(Si), 갈륨 아세나이드(GaAs) 등의 반도체 물질을 단결정 기둥(ingot)으로 성장시킨 뒤, 적당한 두께로 얇게 절단한 원판을 말한다. 실리콘을 사용하는 이유는 자연계에서 흔하게 발견되고, 경제적으로 저렴하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웨이퍼 제조 공정은 크게 폴리실리콘 잉곳 제조, 웨이퍼 슬라이싱, 웨이퍼 표면...2024.10.20
-
함석2024.10.021. 분전반 1.1. 분전반의 정의와 용도 분전반은 전등이나 전열, 동력부하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각종 부하에 맞게 전력을 배분해 주는 장치이다. 분전반은 전기를 안전하게, 그리고 그것의 용법대로 사용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계장치에는 분전반 이외에도 배전반, 제어반이 있다. 이름이 비슷하고 용도도 비슷하지만 전혀 다르다. 배전반은 주로 공장이나 빌딩과 같은 대형 시설에서 전력 회사가 보내는 고압의 전기를 받을 수 있는 시설이다. 분전반은 건물 안에서 사용하는 전기 장치에 전기가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해...2024.10.02
-
연마의종류2024.11.18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주된 목적은 탄소 함량 및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를 직접 관찰함으로써 탄소강의 미세조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금속 조직의 관찰을 위한 채취, 마운팅, 연마, 에칭, 현미경 관찰 과정을 진행하여 각 단계를 진행하는 이유와 각 단계에서의 핵심 내용을 알고, 기본 과정의 원리를 배우는 것 또한 본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적 배경 1.2.1. 탄소강의 미세조직 탄소강은 철과 탄소의 합금으로 0.05~2.1%의 탄소를 함유한다. 이때 탄소의 함량에 따라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