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N(장소) + 에2024.10.251. 외생변수 통제방법 1.1. 대조군 설정 대조군 설정은 실험연구 시 특정 처치를 가한 집단과 처치를 가하지 않은 집단을 두어 특정 처치에 따른 효과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대조군이 없는 경우, 실험 처치로 인한 연구 결과인지 다른 요인에 따른 연구 결과인지 규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조군을 설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실험처치의 효과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즉, 대조군 설정은 처치군의 결과와 대조군의 결과를 비교하여 처치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외생변수 통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2024.10.25
-
간호연구2024.08.261. 외생변수와 연구설계 1.1. 외생변수 통제방법 1.1.1. 외적 통제방법 외적 통제방법은 연구 진행 상황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으로 주로 외부환경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조군(control)의 설정은 과학적 증거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대조군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신약을 개발할 때 기존 약 복용군이나 위약 복용군을 두어 실험군과 대조할 근거를 두어야 한다. 하지만 대조군의 존재 자체가 실험 연구 조건 통제의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시간의 통제는 동일한 시간대에 자료를 수집해야 ...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