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사이비 역사학2024.10.211. 사이비역사학과 역사파시즘 1.1. 사이비역사학의 등장 배경 사이비역사학의 등장 배경은 197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2년 5월 11일 박정희 정부는 '교육의 국적을 찾자'는 대통령의 제창에 따라 문교부 산하에 국사 교육 강화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이는 '민족'을 중심으로 한 역사 교육을 실시하겠다는 것이었다. 그 다음 해 1973년 6월 23일 또 다른 정책을 발표하였는데 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이의 가장 큰 목적은 새로 출범한 유신 체제의 선전과 정당화였다. 당연히 역사학계와 교육계의 반응은 매...2024.10.21
-
쟁점한국사 독후감2024.10.261. 서학(西學)의 유입과 한국 철학에 미친 영향 1.1. 서학의 유입과 조선 사회에의 파급 서학(西學)은 1603년 중국을 거쳐 조선으로 전해졌다. 마테오리치와 루제리 신부에 의해 중국에 전해진 서학은 1630년경부터 조선에서 본격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서학은 두 가지 측면에서 조선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첫째는 과학기술적 측면이고 둘째는 천주교라는 종교적 측면이었다. 먼저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서양의 발달된 무기제조술, 천문역법 등은 조선 지식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들은 이러한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자 노...2024.10.26
-
근현대사 논쟁2024.09.031. 서론 요즘 많은 대기업과 공기업에서는 한국사자격증을 꼭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2017년부터는 수능에서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선정된 만큼 역사의식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작년 '교학사'에서 출판된 한국사 교과서가 '뉴라이트'적 사관의 편향된 내용을 담고 있어 대한민국 교육계는 물론,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있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교과서의 근현대사 부분에 많은 역사적 왜곡이 있었다. 근현대사는 우리나라의 미래인 학생들이 앞으로 가지게 될 정치적 혹은 사회적 사고관념에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자, 가장 큰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