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묵시적 개념이 기독교인의 정치 참여에 미친 영향2024.09.231. 그리스도교 묵시 문학에 대한 이해 1.1. 묵시 문학의 기원 및 배경 묵시 문학의 기원 및 배경은 다음과 같다. 묵시라는 용어는 "베일을 벗기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그리스어 "apocaluptein"에서 유래한다. 이 용어를 문학적 의미로 본다면 베일에 싸여있는 미래적이고 종말적인 역사의 마지막에 대한 불투명한 예측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구약에서 예언자들은 하느님의 이름으로 역사의 현장에 존재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이름으로 이야기했고, 현재 자기 역사 속에 계신 하느님을 증언하며 자신을 소개했다. 그리고 그 역...2024.09.23
-
다니엘서 2장 예언 해석2024.10.101. 다니엘서의 종말론과 한국교회 1.1. 들어가며 다니엘서는 구약의 대표적인 묵시문학 작품이다. 묵시 문학의 강조점은 미래의 사건들에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또한 현대의 상황 속에서 그리고 있다. 다니엘서는 앞으로 겪을 역사적 운명을 종말적으로 계시해 주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하나님 나라"를 등장시킴으로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새로운 소망을 갖게 한다. 다니엘 7장은 다니엘서 전체에서 하나의 전환점을 이루는 부분이다. 다니엘 1-6장이 다니엘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면, 다니엘 7장부터 본문은 다니엘이 보고 들은 묵시를 전한다.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