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그리스 로마 신화 속 공포스러운 여성들2024.10.021. 그리스 로마 신화 속 공포스러운 여성 캐릭터 1.1. 메두사 메두사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마녀 혹은 괴물로, 고르고네스 3자매 중 하나이다. 고르고네스 세 자매의 이름은 각각 스테노, 에우리알레, 메두사이다. 세 자매 중 메두사만이 죽을 운명의 존재이고 나머지 둘은 불사신이다. 포르키스와 케토 사이에 태어난 고르고네스 세 자매는 흉측한 얼굴에 눈은 튀어나오고 머리카락 한 올 한 올이 실뱀으로 되어있으며, 멧돼지의 어금니 같은 날카로운 이빨이 나있었다. 원래 메두사는 미모가 출중해 많은 남자들이 메두사에게 구혼을 했다고 ...2024.10.02
-
특별한 그녀들의 스토리2024.10.021. 중국 여성신화와 고대 여성의 삶 1.1. 중국 여성신화의 의미와 배경 중국 여성신화의 의미와 배경은 다음과 같다. 중국 여성신화는 풍족한 수확의 추구와 홍수, 가뭄 등의 두려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기원으로 여신에 대한 제사의식, 숭배의식이 신화로 발전한 것이다. 신석기시대에는 채집과 수렵 그리고 기초적인 농경이 이루어지는 모계 씨족사회였다. 그러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가부장적 사회로 변모하면서 여신의 주체적이고 영웅적인 모습은 남성의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며 점차 권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절대권력의 여신 여와는 본래...2024.10.02
-
구하우스2024.09.021. 트로이아 전쟁 1.1. 트로이아 전쟁의 발단 트로이아 전쟁의 발단은 아프로디테, 헤라, 아테네 세 여신 간의 경쟁에서 비롯되었다. 트로이아의 왕자 파리스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선택하라는 과제를 받았는데, 그는 아프로디테가 제공한 스파르타의 여왕 헬레네를 선택했다. 이는 곧 트로이아와 희랍 세계 간의 대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트로이아 전쟁의 도화선은 아킬레우스의 부모인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식에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초대받지 못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에리스는 분노하여 "가장 아름다운 이에게"라...2024.09.02
-
조선대학교 문학과 신화2024.09.091. 천지창조 신화 1.1. 성서의 천지창조 성서의 천지창조는 기독교 문화권에서 유일신 '여호와'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전해진다. 성서에 따르면 처음에는 혼돈과 어두움만 존재했으나, 여호와께서 6일 동안 순차적으로 빛과 어둠, 하늘과 물, 육지와 식물, 해와 달과 별, 물고기와 새, 짐승과 인간을 창조하셨다. 여호와께서는 마지막 6일째에 자신의 형상대로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여 지상의 생물들을 통치하게 하셨다. 그리고 7일째에는 창조활동을 멈추고 안식하셨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성서의 천지창조 신화는 여호와의 전능하신 창조 활동으...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