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철학의 쓸모와 동양철학의 특징2024.09.291. 동양화의 사상적 배경 1.1. 유교, 불교, 도교의 영향 동양화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모든 동아시아 지역의 회화를 통칭하는데, 이러한 동양화에는 동양의 역사 발전 과정 속 주된 사상적 배경인 유교, 불교, 도교가 깊이 반영되어 있다. 먼저 유교의 사상적 영향을 살펴보면, 유교의 회화관은 "그림을 좋아하면 회화 속에 있는 진의를 즐거워해야 한다"는 공자의 주장에 기반한다. 즉, 화가는 감상자에게 깊은 내면세계를 깨닫게 해주는 희열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동양화의 유교적 철학 이념으로 이어져, 최고의 미(美)와 최...2024.09.29
-
인생 연출2024.11.151. 미래의 나의 인생 연출 1.1. 나의 가치관과 신념 투영하기 나의 가치관과 신념은 나의 인생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미래의 나의 인생을 연출하는 데 있어서 나의 가치관과 신념이 투영된 대화문을 만들고자 했다. 나와 나의 성인이 된 아들과의 담화를 통해 나의 가치관과 신념을 드러내고자 했다. 내가 지닌 가치관과 신념 중 가장 핵심은 '가슴 뛰는 쪽으로 가자'라는 좌우명이다. 나는 어린 시절부터 남에게 의지하기보다는 내가 내 돈을 벌고 싶었고, 그러한 목표를 위해 시공사에 취직하여 실무적인 경험을 쌓아왔다. ...2024.11.15
-
동양화 구도론2024.10.171. 구도의 일반 원리 1.1. 취함과 버림 취함과 버림이란 중요한 것은 남기고 불필요한 것은 제거하는 것이다. 구도를 잡을 때는 먼저 취함과 버림에 주의를 기울여야한 만다. 취하는 것이 없으면 그림에서 형상을 묘사할 수 없고 구고고 말할 수 없다. 버리는 것이 없으면 눈썹이나 수염과 같은 사소한 것까지 다 그리게 되어 주객의 구분도 없고 경중과 대소의 처리도 없게 되어 구도를 말할 수 없게 된다. 즉, 취함과 버림은 구도에서 매우 중요한 원리로서 작가가 그리고자 하는 핵심 대상을 부각시키고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함으로써 주객의 ...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