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김선우 신의 방 비판2024.09.121. 시는 몸을 어떻게 읽는가 1.1. 몸(體)의 글쓰기 1.1.1. 파괴와 기괴: 김혜순 김혜순에게 여성의 몸(體)은 여성의 실존이자 그 자체인 동시에 남성이 설정한 규범적 언어에 대항한다. 김혜순의 몸의 글쓰기는 남성 대 여성이라는 이항대립적 체계에 국한된 것이 아닌 더 나아가 체계 자체를 파괴시킨다. 김혜순의 시는 쉽게 읽혀지는 것을 거부하는데, 이는 저항하는 몸(體) 그 자체이다. 지금까지 여성의 언어에서 '먹는다'는 말의 주체가 될 수 없었으며 '먹는다'는 동사는 여성의 것이 아니었다. 여성은 '먹어서는 안 되는 존재'...2024.09.12
-
하데스 신화 관련 질문2024.10.121. 생태주의와 여성주의의 만남: 에코페미니즘 1.1. 생태학과 여성주의의 접점 생태학과 여성주의의 접점은 인간 중심주의와 남성 중심주의라는 공통의 토대에서 찾을 수 있다. 생태학은 기존의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자연과 생명체 전체를 포괄하는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한다. 이러한 생태학적 관점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와 여성 억압에 대한 비판적 인식으로 이어진다. 여성주의는 자연과 여성이 오랫동안 지배와 착취의 대상이 되어왔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생태학과 여성주의는 지배와 억압의 근본 원인을 인간 중심주의와 남성 중심주의에서 ...2024.10.12
-
채식주의자 서평2024.09.091. 한강의 채식주의자 1.1. 소설의 구성 소설 『채식주의자』는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채식주의자」는 영혜의 남편의 시선으로 서술된다. 영혜가 점차 육식을 거부하며 채식주의자가 되어가는 과정과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남편 그리고 가족과 사회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2부 「몽고반점」은 영혜의 형부의 시각에서 그려진다. 그는 처제인 영혜의 몸에 남아 있는 몽고반점에 성적 욕정을 느끼고, 이를 예술 작품으로 표현한다. 3부 「나무 불꽃」은 영혜의 언니 인혜의 시각에서 그려진다. 그녀는 남편과 헤어진 후 생계의 부담과 동생 ...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