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고대 이스라엘의 기원과 출애굽의 역사신학적 의미2024.09.111. 이스라엘의 무성전 시대 1.1. 용어와 연대 "용어와 연대"에 따르면, 저자는 '포로기'라는 용어에 대한 문제 제기로 시작한다. 저자는 '포로기'보다는 '무성전 시대'라는 용어가 당시의 상황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무성전 시대'란 "예루살렘이 멸망을 한 기원전 587년에서 제2성전이 건립이 된 515년 사이"를 지칭한다. 이 시기는 유다의 역사, 사회, 종교에 큰 변화가 일어났던 시기로, 유다 공동체가 분열되고 예루살렘이 멸망하면서 다양한 상황이 발생했다. 저자는 이 시기를 '비극의 시대'와 '희망의 시대'로...2024.09.11
-
느브갓네살의 환상 해석2024.10.101. 서론 개인이나 국가의 역사를 통해서 볼 때 시대별로 위기의 시기는 늘 존재해 왔다. 그 위기의 순간들을 어떻게 대처하는가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그에 따라 개인이나 국가의 미래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민족에게도 심각한 위기가 찾아왔다. 바로 유다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하고 백성들이 포로로 잡혀가게 된 것이다. 바로 포로기라는 고통과 수난의 시기를 맞게 된 것이다. 이는 남유다보다 앞서 멸망당한 후 혼합정책에 순응해 버린 북이스라엘과 같이 민족의 정체성을 잃고 역사속으로 사라져 버릴 수 있는 절대적 위기인 것이다. 이...2024.10.10
-
포로기 역사 예언자의 역할 분석2024.12.021. 포로기 예언자들 1.1. 포로기 역사 1.1.1. 유다의 멸망과정 유다의 멸망과정은 주전 8세기 후반부터 주전 6세기 초반에 걸쳐 진행되었다. 앗수르 제국이 쇠퇴하고 바벨론 제국이 부상하면서 유다 왕국은 이 두 대륙 세력 사이에서 치열한 생존 경쟁을 펼쳐야만 했다. 먼저 유다의 선왕 요시야가 애굽과의 전쟁 도중 전사하면서 유다는 혼란에 빠졌다. 요시야의 아들 여호아하스가 잠시 왕위에 올랐지만 애굽의 간섭으로 교체되어 여호야김이 왕위에 올랐다. 여호야김은 바벨론에 복속되었다가 반역하였고, 주전 597년 바벨론 군대에 의해 ...2024.12.02
-
포로기 역사 예언자 분석2024.12.021. 서론 1.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역사서 수업을 통해 배운 바벨론 포로기를 정리하고 보다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유다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하고 백성들이 포로로 잡혀가게 된 포로기라는 고통과 수난의 시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포로기에 활동한 선지자들의 신학적 특징과 메시지를 중점적으로 탐구하여 포로기 예언자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포로기라는 심각한 위기의 순간에 예언자들이 어떤 메시지를 선포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신학과 메시지를 연구하고자 한다....202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