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인사 고충 사유서2024.09.271. 직장 내 고충처리 지침 1.1. 목적 및 적용범위 이 지침은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5장, 「남녀고용평등법」제25조의 규정에 의거 0000 직원의 고충처리에 관한 업무를 담당할 고충처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구성과 처리절차 등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1.2. 고충처리위원회의 종류 위원회는 본부에 설치하는 중앙고충처리위원회, 각 거점본부에 설치하는 거점본부고충처리위원회, 각 센터에 설치하는 센터고충처리위원회로 한다. 중앙노사협의회의 결정에 의해 필요한 경우에는 특별고충처리위원회를 둘 수 있다. 1....2024.09.27
-
근골격계질환 발생 특징 및 작업 특성 요인 개선 대책2024.11.011. 근골격계질환의 개요와 발생 현황 1.1. 근골격계질환의 개념 근골격계질환은 무리하게 힘을 쓰거나 반복되는 동작, 잘못된 자세, 날카로운 면과 신체접촉, 온도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근육의 신경, 힘줄, 인대, 관절 등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건강장해를 말한다. 이러한 근골격계질환은 주로 통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근골격계질환은 노동자들 사이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질환은 노동자들의 건강을 해치고, 산업 생산량을 떨어지게 만든다. 따라서 근골격계질환이 무엇이며 이로 인하여 어떤 영향이 생기는지 알아야 하며, 직업병으로 인...2024.11.01
-
스프레이 도장작업을 하는 사업장에 대해 작업환경측정을 계획하시오2024.10.311. 작업환경측정 및 관리 1.1. 작업환경측정이란 작업환경측정이란 작업 환경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해당 근로자나 작업장에 대해서 사업주가 측정 계획을 수립하여 시료를 채취, 분석, 평가하는 활동이다. 이것을 하는 이유는 작업 환경상 근로자들이 작업을 하면서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등의 이유로 업무상 질병을 얻지 않도록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이다. 작업환경측정은 근로자가 호흡하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의 종류와 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이를 통해서 해당 작업장에서 일하는 것이 건강 장해를 유발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2024.10.31
-
식당 전화응대 매뉴얼2025.01.081. 감정노동자와 갑질 피해 1.1. 감정노동자 정의 및 특성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이라는 개념은 1983년, 미국의 사회학자 알리에 러셀 혹쉴드(Hochschild)의 저서를 통해 처음 언급되면서 기존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에 더해 새로운 유형의 노동으로 조명받기 시작했다. 혹쉴드는 감정노동을 '급여에 대한 대가로 이뤄지는 행위로서 외적으로 관찰 가능한 표정과 몸짓을 만들어내기 위해 근로자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또한 감정노동의 세 가지 특성으로 첫째 사람을 상대하고, 둘째 타인에게 특정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