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간호사의 윤리적,법적 의료사고사건을 찾아 판례분석2024.09.271. 서론 1.1. 선정 이유 정확하고 안전한 투약 업무의 수행은 간호사의 기본적인 업무 중의 하나이다. 간호업무 중 투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간호 상황에서 투약오류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 사례를 선정한 이유는 투약오류가 전체 오류 중 33%를 차지하고 그 중 1.2%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나 사망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기 때문이다. 의학의 발전, 환자의 알 권리 및 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투약 정확성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지금도 많은 연구자들은 투약 안전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2024.09.27
-
최근 5년 이내 간호사 의료사고 판례와, 이에 사용된 의료법, 해결방안2024.11.201. 서론 간호사는 병원의 인력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환자의 생명에 직결되는 치료 행위를 하는 직업이다. 그렇기에 때로는 의료사고에 관련된 상황에 처할 수 있는 직업이기도 하다. 따라서 환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면서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의료사고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판례를 통해 관련 보건의약관계 법에 대해서 탐구해보고자 한다. 또한 미래에 간호사로 일할 간호학생으로서 의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현장에서의 대안, 의료법의 보완점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지고자 한다. 2. 간호사와 관련된 의료사고 2.1. 의료사고 ...2024.11.20
-
의료사고 사례 2건이상2024.10.181. 의료사고 사례와 예방 1.1. 임상실습 중 경험한 의료사고 사례 임상실습 중 경험한 의료사고 사례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례는 병원에 입원한 옴 환자를 간호하던 중에 발생한 것이다. 간호사는 병실에 들어가기 전 보호 장구인 Foly 장갑과 AP 가운을 착용하고 손소독을 실시했다. 하지만 병실에서 활력징후 측정이나 BST 시행 후 기록을 위해 사용한 볼펜과 수첩을 소독할 수 없어 최소한으로 만지고 병실 밖으로 나와서 사용했다. 또한 체온계와 SpO2 기계도 함께 병실 밖으로 꺼내와 알코올 솜으로 소독했다. 병실에서 나올 ...2024.10.18
-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사망사건2024.10.121. 서론 1.1.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사망 사건 개요 2017년 12월 16일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소속 이대목동병원에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 중이던 미숙아 4명(남아 2명, 여아 2명)이 연달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오후 9시 32분부터 약 1시간 20분 동안 4명의 신생아가 차례대로 심정지를 일으키고 사망한 것이다. 당시 환아들은 전원 미숙아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 중이었으며, 다른 선천성 기형 등의 특이 동반 질환은 없었다고 밝혔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조사 결과, 신생아들의 사망 원인은 시트...2024.10.12
-
간호사의 법적 의무 위반 사례와 관계 법령 적용분석2024.11.221. 간호사의 법적의무 위반 1.1. 간호사의 업무 범위 및 책임 간호사의 업무 범위 및 책임은 의료법에 명시되어 있다. 의료법 제2조 제2항 제5호에 따르면, 간호사는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와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 기획과 수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처럼 간호사의 업무는 주치의의 지시 하에 이루어지는 진료 보조 업무와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간호 업무로 구분된다. 간호사는 자신의 전문성과...2024.11.22
-
의료사고 판례2024.11.241. 보건의료법규상 투약 오류 관련 판례 1.1. 의료사고 발생 시 간호사의 주의의무 의료사고 발생 시 간호사의 주의의무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하게 투약하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여 응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는 것이다. 의사가 처방한 약물을 정확히 확인하고 5R(Right Patient, Right Drug, Right Dose, Right Route, Right Time)에 따라 투약해야 한다. 특히 수술 후 환자의 경우 출혈이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담당 간호사는 의사의 지시대로 1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를...2024.11.24
-
간호사 의료사고 판례 2022년2024.11.111. 의료기관 개설 및 원격의료에 관한 법적 고찰 1.1. 의료기관 개설 관련 법적 기준 의료기관 개설 관련 법적 기준은 의료법 제33조에 명시되어 있다. 의료인은 이 법에 따른 의료기관을 개설하지 않고는 의료업을 할 수 없으며, 응급환자 진료, 환자나 환자 보호자의 요청에 따른 진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에 따른 진료, 가정간호, 기타 법령이 정한 경우 등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료기관 내에서만 의료업을 수행해야 한다. 의료기관은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의료법인, 민법이나 특별법에...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