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전문간호사2024.09.301. 전문간호사 제도 개요 1.1. 전문간호사의 정의 전문간호사는 간호사 면허소지자로서 최근 10년 이내에 해당 분야의 간호실무 3년 이상의 경력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의 교육과정(대학원 전문간호사 과정)을 마치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실시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와 외국의 해당 전문간호사 자격소지자로서 인증을 받은 자를 의미한다"이다. 또한 대한간호협회에서는 전문간호사를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증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해당 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의료...2024.09.30
-
위생사 실기정리2024.10.311. 서론 1.1. 피부미용의 정의 및 기능 피부미용은 안면 및 전신의 피부에 물리적·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피부의 생리기능을 자극하면서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시키는 미용기술이다. 피부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생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연령이나 계절의 환경, 생활 조건 등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다. 다양한 요인으로 미용 상의 문제를 예방하고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진실한 피부를 관리하는 것이 미용술의 피부미용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피부관리사는 피부미용사, 피부관리사, 에스테티션, 뷰티테라피스트 ...2024.10.31
-
미용사(피부) 업무 범위 조사 및 문제점2024.10.301. 미용사(피부) 업무 범위 조사 및 문제점 1.1. 서론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일반 미용사와 피부미용사 업무 영역을 구분하고 의료기기, 의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피부관리, 피부 상태의 분석, 제모, 눈썹의 손질 등을 하는 것을 피부미용 업무 범위로 규정한다. 미용사 면허를 받은 사람이 아니라면 미용업의 개설이나 해당 업무에서 일할 수 없고 미용사 감독을 받아서 미용 업무 보조를 이행할 수는 있다. 피부미용사는 피부미용실에서의 세균 번식, 이에 따른 감염성 질병의 예방, 고객과 피부미용인 자기의 건강증진, 삶의 질을 향상...2024.10.30
-
피부미용사 업무 범위2024.10.311. 서론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일반 미용사와 피부미용사 업무 영역을 구분하고 의료기기, 의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피부관리, 피부 상태의 분석, 제모, 눈썹의 손질 등을 하는 것을 피부미용 업무 범위로 규정한다. 미용사 면허를 받은 사람이 아니라면 미용업의 개설이나 해당 업무에서 일할 수 없고 미용사 감독을 받아서 미용 업무 보조를 이행할 수는 있다. 피부미용사는 피부미용실에서의 세균 번식, 이에 따른 감염성 질병의 예방, 고객과 피부미용인 자기의 건강증진,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무엇보다 피부미용실의 위생관리와 피부미용사...2024.10.31
-
조무사 한방간호2024.10.131.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의 갈등 1.1. 갈등의 현황 및 실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의 갈등 현황은 다음과 같다. 1966년 우리나라 정부는 간호사 부족 현상에 대한 해소책의 일환으로 의료보조원법 개정(의료보조원법시행령 중 개정의건, 대통령령 제2665호)을 통해 간호사 역할 일부를 간호조무사가 대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간호사-간호조무사 간 업무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직무영역에 대하여 많은 마찰을 일으켰다. 대다수의 간호조무사는 자신들이 간호사와 유사한 업무를 수행한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요양병원에서 간호조무사를 '...2024.10.13
-
간호조무사2024.09.021. 서론 1.1.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정의 및 자격요건 간호사는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간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이나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간호사 시험에 합격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이 발급하는 면허를 받은 사람으로서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와 더불어 법정 의료인에 해당한다. 간호조무사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의 자격인정을 받은 자로써 간호사 업무 보조 및 의원급 의료기관에 한하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