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2024.12.03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개요 1.1.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목표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목표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교육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과 해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교수하고 학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학문이다. 이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한국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어 학습을 통해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의 목표는 다양한 주제와 맥락에서 한국어로 원활한 의사소통...2024.12.03
-
해외대학한국어전공외국인학생대상교재개발방안은2024.12.131. 국내외 한국어 교육 현황 및 발전 방안 1.1. 국내외 한국어교육기관 현황 국내외 한국어교육기관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 세계에는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기관이 존재한다. 중국의 경우 일찍부터 한국어를 주요 소수언어로 인정하며, 조선족 자치주 내에서 한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중국에는 수천 개의 한국어 학교가 있으며, 대학 입시에서도 한국어를 응시과목으로 인정하고 있다. 일본에는 4개의 정규 한국어 고등학교와 120개 대학에 한국어과 또는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은 이중언어 교육에 보수...2024.12.13
-
엥겔만의 실험2024.08.221. 서론 1.1. 디스타 프로그램의 개념과 배경 디스타 프로그램은 미국 일리노이즈 대학의 베라이터, 엥겔만, 베커, 오스본 등에 의해 개발된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Direct Instructional System for Teaching Acceleration Remediation"의 머리글자를 딴 "DISTA" 프로그램, 즉 "촉진 및 교정학습을 위한 직접 교수체제"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디스타 프로그램은 1960년대 시작된 헤드스타트 운동 이후 혜택을 받지 못한 저소득층 불우 아...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