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싱가포르 다문화 정책에 관하여2024.10.061. 서론 싱가포르는 작은 섬에 불과한 도시국가이지만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종족, 다문화 사회이다. 이러한 종족구성요소는 싱가포르가 말레이연방으로부터 탈퇴한 주요한 이유가 되었다. 즉 말레이 연방정부가 표방한 말레이계 우선 정책은 중국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싱가포르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었고, 사회적 부를 많이 차지하고 있었던 중국계에 대한 말레이계의 반감은 말레이연방 속의 싱가포르에게는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종족적 환경이 1965년 독립을 가져왔고, 이후부터 다종족, 다문화가 싱...2024.10.06
-
다문화사회의 통합 공용어정책2024.11.201. 공용어와 다문화 정책 1.1. 공용어의 개념과 사용 현황 1.1.1. 단일 공용어 국가와 다공용어 국가 단일 공용어 국가는 한 나라 내에서 하나의 언어만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국가를 의미한다. 이 경우 그 언어는 국가의 행정, 입법, 사법 등 공식적인 절차에서 사용된다. 우리나라와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이 대표적인 단일 공용어 국가이다. 이러한 단일 공용어 국가는 국가의 정체성과 통일성을 유지하는데 유리하지만, 한편으로 소수민족언어에 대한 보호와 발전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반대로 다공용어 국가는 두 개 이상의 ...2024.11.20
-
우리말과 북한의 품사비교2024.10.311. 언어 이질화와 통합을 위한 노력 1.1. 남북 언어의 이질화 배경 1.1.1. 서로 다른 이념과 정치체제 남과 북은 광복과 더불어 국토가 둘로 나뉘면서 서로 다른 이념과 정치 체제를 갖게 되었다. 이것이 민족어가 이질화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남한은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받아들였고, 북한은 사회주의 이념을 받아들였다. 이리하여 북은 유물론과 기능적 관점, 남은 이상주의적 관점을 언어에 갖게 되어 서로 다른 언어체제를 수립하여 왔다.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사회주의 언어 이론과 언어관을 수용하고 그 바탕에서 ...2024.10.31
-
한국과 외국의 다문화 정책 비교 - 문제점 및 대책2024.11.031. 한국과 외국의 다문화정책 비교 1.1. 한국의 다문화정책 1.1.1. 다문화가족 정책 다문화가족 정책은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 등으로 구성되는 다문화 가족 구성원이 우리 사회에 순조롭게 통합되어 안정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와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이다. 이를 위해 2008년 제정된 「다문화가족지원법」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지정하여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결혼이민자 등에게 가족 상담, 부부 교육, 직업 훈련, 자녀 교육 지원, 법률 상담 및 행정 지원 ...2024.11.03
-
라틴어와 프랑스어2024.11.211. 프랑스어의 역사와 발전 1.1. 프랑스어의 기원 프랑스어의 기원은 라틴어, 더 정확히 말해서 문어체 위주인 고전 라틴어와는 대비되는 민중 라틴어(latin vulgaire)이다. 이 민중 라틴어에서 지역적 특성에 따라 분화된 언어들이 로망어(langues romanes)이다. 로마인이 본격적으로 갈리아에 침투하기 시작한 2세기경 이전까지 널리 쓰이던 켈트어는 프랑스어의 기층어(substrat)를 형성한다. 한편 4~5세기 이후 게르만족이 갈리아 지방에 유입되면서 게르만어는 프랑스어의 상층어(superstrat)를 형성하게 된...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