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역사언어학2024.09.101. 역사-비교 언어학 1.1. 개요 언어의 변화는 시대적으로 다른 단계의 문헌을 서로 대조해 봄으로써 변화가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문헌이 없는 더 옛 단계의 역사까지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같은 계통에 속하는 여러 언어를 비교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역사언어학에서 우리는 비교방법에 의해서 유사 이전의 역사에까지 소급해 갈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분야를 비교언어학이라고 한다. 역사비교언어학이라고도 한다. 비교언어학은 계통을 같이하는 친근 관계에 있는 ...2024.09.10
-
표준적인 된소리 현상과 표준적이지 않은 된소리 현상의 예2024.10.211. 서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 중 경음화로 인한 발음과 표기의 차이는 종종 모국어 화자에게도 혼란을 야기하곤 하며,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잘못 발음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짜장면'의 표준 표기는 '자장면'이었으나, 대다수 사람들이 '짜장면'으로 발음하고 표기하였다. 이에 규범과 실제 사용 간의 차이에서 야기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2011년 국립국어원에서는 '자장면'과 '짜장면'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바 있다. 경음화는 발음을 하면서 자...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