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세일해머노아2024.09.151. 모세오경의 이해 1.1. 모세오경의 구조와 저자 모세오경의 구조와 저자는 다음과 같다. 모세오경은 원래 하나의 책으로 기록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하나의 목적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세오경은 한 명의 저자, 즉 모세에 의해 기록되었다. 이는 모세오경 내에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후기 성경 저자들과 성경 전체 내에서 모세오경의 저작권이 모세에게 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세오경은 역사적인 서술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창세기 1-11장이 모세오경 전체에 대한 서론을 구성하고 있다. 모세오경의 저자는 모세이지만, 성령의 감...2024.09.15
-
계약신학과 약속 내용 요약2024.09.211. 계약신학과 약속 1.1. 서론 이 책의 목적은 구속사에게 제시된 계약 구조의 신학적 중요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책의 핵심 주제는 중요한 구속력 있는 계약이 이중구조적 계약으로 구성돼 있다는 것이다. 아브라함과 그 후손들과 맺은 약속계약은 그 효력과 무결성을 결코 잃지 않는 영원한 계약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원계약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계약을 통해 본 계약에 포함된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이 계약들은 인간의 복종을 요구 한다. 계약의 두 가지 측면은 기업의 경영을 성공시키기 위해 기능해야 한다. 각각의 중요 구속력이 있는...2024.09.21
-
죽었으나 말하는 언약도2024.10.011. 성경의 언약 관계 1.1. 구약과 신약의 관계 구약과 신약의 관계는 하나님의 구속 역사에 있어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약은 신약을 예비하고 있으며, 신약은 구약의 약속들을 성취한다. 구약과 신약은 하나의 일관된 큰 흐름 속에 있는데, 이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하게 성취되고 표현된 언약이다. 옛 언약은 은혜의 언약에 의해 대치된 것이 아니라 그것에 의해 성취되었다. 옛 언약에 표현되었던 모든 것들이 새 언약에서 구현된다. 더욱이 옛 언약은 그리스도의 새 언약에서 그 최고의 의미를 발견한다. 그 새 언약은 인간을...2024.10.01
-
광야에서의 계약2024.09.301. 구약성경 오경의 이해 1.1. 창세기 1.1.1. 창조와 타락 창세기 1:1-3에 기록된 창조와 타락은 모세 오경의 첫 부분으로,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고 인간을 지으신 내용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셨다"는 선언으로 시작된다. 이를 통해 성경은 세상의 근원이 하나님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먼저 창조 과정을 살펴보면, 하나님께서는 무질서하고 공허했던 세상을 여섯 날에 걸쳐 체계적으로 질서 있게 창조하셨다. 첫째 날 하나님은 빛을 만드셨고, 둘째 날 물과 하늘을 나누셨다. 셋째 날 하나님은 육지와 바다를 구...2024.09.30
-
복음주의 하나님의 주권2024.10.241. 개혁신학이란 무엇인가? 1.1. 종교개혁 사상의 표어 종교개혁 사상의 표어는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 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직 주께만 영광"이다. 이는 칼빈을 비롯한 종교개혁자들이 천명한 핵심 신학 사상으로,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하는 개혁주의 신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첫째, "오직 성경"은 성경 말씀만이 진리를 판별하는 유일한 권위라는 사상이다. 둘째, "오직 그리스도"는 구원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공로로만 가능하다는 사상이다. 셋째, "오직 은혜"는 구원이 인간의 어떤 조건과 상관없이 오직 ...2024.10.24
-
복음이란 무엇인가, 요약2024.09.191. 복음과 하나님 나라 1.1. 복음의 본질 복음의 본질은 단순히 개인의 구원에 관한 메시지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는 더 큰 메시지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복음이 단지 죄인들의 구원을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이 세상 가운데서 하나님의 통치와 통치의 실현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죽음 그리고 부활을 통해 가능해진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는 메시지이다. 이 하나님 나라는 의와 평화와 기쁨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세워졌다. 따라서 복음은...2024.09.19
-
포로기 역사 예언자 분석2024.12.021. 서론 1.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역사서 수업을 통해 배운 바벨론 포로기를 정리하고 보다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유다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하고 백성들이 포로로 잡혀가게 된 포로기라는 고통과 수난의 시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포로기에 활동한 선지자들의 신학적 특징과 메시지를 중점적으로 탐구하여 포로기 예언자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포로기라는 심각한 위기의 순간에 예언자들이 어떤 메시지를 선포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신학과 메시지를 연구하고자 한다....2024.12.02
-
성막론2024.11.291. 성막의 의의와 역사 1.1. 성막의 의의 성막의 의의는 출애굽한 이스라엘에게 계시하신 하나님 임재의 장소였다는 점이다. 이곳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과 만나 그 분을 예배하였고, 하나님은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더 이상 하나님은 시내산에 국한된 신이 아니심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오늘날에 그러한 성막을 재현하는 데에는 몇 가지 난점들이 있다. 그것은 규격이나 구조들, 그리고 건축에 있어서 성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언급만으로는 원래의 것과 일치하는 것을 재현하기 힘들다는 사실에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오랜 동안 많은 학자들이 ...2024.11.29
-
계약신학과 약속2024.11.301. 계약신학과 약속 1.1. 서론 이 책의 목적은 구속사에 제시된 계약 구조의 신학적 중요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책의 핵심 주제는 중요한 구속력 있는 계약이 이중 구조적 계약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아브라함과 그 후손들과 맺은 약속계약은 그 효력과 무결성을 결코 잃지 않는 영원한 계약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원계약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계약을 통해 본 계약에 포함된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이 계약들은 인간의 복종을 요구한다. 계약의 두 가지 측면은 기업의 경영을 성공시키기 위해 기능해야 한다. 1.2. 자손의 개념 1...2024.11.30
-
개혁주의 관점 성례 의미 성령세례 성령충만2024.11.301.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성례(성찬과 세례)의 의미 1.1. 성례의 정의와 중요성 성례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거룩한 규례로서,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베푸신 은혜를 감지할 수 있는 표징을 통해 신자들에게 제시되고 인쳐지고 적용되며, 신자들은 이에 참여함으로써 하나님께 대한 신앙과 복종을 표시한다. 성례는 은혜 언약에 대한 거룩한 표이자 인장으로, 하나님께서 신자들에게 그리스도와 그가 주시는 은혜를 나타내고 그 안에서 우리가 받는 유익을 확증하며, 교회에 속한 사람들과 세상에 속한 나머지 사람들을 구별하고, 교회에 속한 사람들...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