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중세국어용비어천가2024.09.131. 중세국어의 특징 1.1. 음운 체계 1.1.1. 자음 체계 중세국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는 총 16개의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평음 계열에는 'ㅂ, ㄷ, ㅈ, ㅅ, ㆁ, ㄱ, ㅎ'이 있었고, 경음 계열에는 'ㅃ, ㄸ, ㅉ, ㅆ'가 있었다. 또한 격음 계열에는 'ㅍ, ㅌ, ㅊ'이 있었다. 이 외에도 'ㄹ, ㅁ, ㅂ'의 유음 및 비음 자음이 존재하였다.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현대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ㅸ'과 'ㅿ'이라는 독특한 자음들이 존재하였다. 'ㅸ'은 순경음 비읍(非읍)으로 발음되었고, 'ㅿ'은 ...2024.09.13
-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을 적고, 이 조항의 세 가지 요소를 예를 들어 설명하세요2024.09.141. 한글 맞춤법 총칙 1.1. 한글 맞춤법 개요 한글 맞춤법 개요는 한글 맞춤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토대라고 할 수 있다. 한글 맞춤법에 대한 전반적인 골격과 원칙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글 맞춤법은 크게 표준어와 소리, 그리고 어법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마련되었다. 첫째, 표준어이다. 한글 맞춤법은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즉 표준어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이나 고어, 속어 등은 한글 맞춤법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둘째, 소리대로...2024.09.14
-
기능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의 품사의 예2024.10.011. 서론 1.1.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 기준의 차이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 기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는 교착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단어에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어미가 결합하여 단어의 형태가 변화한다. 이에 따라 한국어의 품사 분류는 주로 단어의 형태적 특징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먹다'라는 동사는 '먹는다', '먹었다', '먹으면' 등으로 어미가 결합하며 변화하는데, 이러한 활용 양상에 따라 동사로 분류된다. 반면 '사람', '책'과 같은 명사는 형태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처럼 한국...2024.10.01
-
한국어와 몽골어 대조2024.11.081.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 1.1. 형태적 측면 1.1.1. 조사와 어미의 발달 한국어의 형태적 측면 중 하나인 "조사와 어미의 발달"은 다른 언어와 구분되는 한국어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다르게 후치사와 유사한 기능인 조사와 어미가 매우 발달하였다. 한국어에서 조사와 어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구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사에는 격조사(-은/는, -을/를), 보조사(-만), 접속조사(-와/-과) 등이 있다. 이러한 조사들은 명사나 대명사 뒤에 붙어 문법적인 기능을 수행하며...2024.11.08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 어미비교2024.10.181. 중세국어 선어말 어미 1.1. 서론 선어말 어미란 용언의 활용 시 어간에서 가장 먼 거리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인 어말 어미보다 선행하는 위치에 있는 문법형태소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보조용언이라고도 한다. '가-'라는 동사의 어간을 활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동사의 어간인 '가-'는 '-다, -게, -지, -니'등과 같은 어말 어미와 연결되어 '가다, 가게, 가지, 가니'와 같은 활용형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동사의 어간을 활용할 때, 어간과 어말 어미가 늘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가더라, 갔었다, 가겠다'등...2024.10.18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에서의 접사2024.10.111. 단어의 형성 1.1. 단어의 형태 구조 단어의 형태 구조는 단어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들의 관계와 특성을 다루는데, 이를 통해 단어 형성 과정과 단어 단위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단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형태소이다. 형태소는 일정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구분된다. 자립형태소는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이고, 의존형태소는 다른 요소에 의지하여 쓰여야 하는 형태소이다"" 둘째, 단어 내부에 존재하는 형태소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단어를 분류할 수 있다. ...2024.10.11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 및 문법 교육 어려움 분석2024.11.281.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유의 관계 1.1. 유의 관계의 개념 유의 관계란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둘 이상의 단어가 맺는 의미 관계를 말하며, 그 짝이 되는 말을 유의어라고 한다""." 유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부분은 같은 개념적 의미를 전제로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이 어떤 경우에나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대부분 개념적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경우에 맞는 유의어 사용을 필요로 한다""." 개념적 의미가 같다고 하더라도 구체적 문맥을 생각하면 의미의 차이가 있기...2024.11.28
-
조사와 어미의 개념 정의 및 단어 인정 여부 견해2025.01.131. 서론 1.1. 조사와 어미의 개념 정의 조사란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뒤에 결합하여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거나 뜻을 더해주는 품사이다. 조사는 체언 뒤에 붙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부사나 어미 뒤에 결합하기도 한다. 조사에는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가 있으며, 조사는 문법적 기능을 하는 의존형태소이다. 어미란 동사, 형용사의 어간에 가지처럼 붙어 여러 가지 문법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활용이 되는 부분이다. 어미는 자립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항상 어간 뒤에 붙어 나타난다. 어미는 문장에서 어간과 분리되거나 생략될 수...2025.01.13
-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개념 정의 및 논의2025.01.131. 서론 1.1. 조사와 어미의 개념 정의 및 논의 한국어의 문법 체계에 있어 조사와 어미는 중요한 개념이다.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에 결합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는 품사이다. 격조사는 체언에 결합하여 용언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고, 보조사는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며, 접속조사는 둘 이상의 체언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조사는 문장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한편 어미는 용언의 어간에 결합하여 여러 가지 문법적인 의미를 나타내며 용언을 활용하게 한다. 선어말어미는 시제...2025.01.13
-
문어의 특성2024.11.271. 한국어 쓰기 수업의 교육 반영 요소 1.1. 일반적인 문어의 특성 1.1.1. 문어체의 특성 문어체는 일반적으로 비공식적이며 대화적인 언어 스타일로, 대화나 글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 언어 스타일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발견되며, 감정적인 내용이나 개인적인 경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또한, 문어체는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며,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유용하다. 문어체는 특정한 언어 규칙이나 표현 방식이 없으며, 대화 상황이나 글쓰기 목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문어체는 대화 상황에서 상대...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