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파생어 개념 유형 및 추측능력 향상 교수 절차2024.11.091. 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1.1. 파생어의 개념 1.1.1. 어근과 어간의 개념 어근은 굴절 어미가 합쳐질 수 없는 단일한 형태의 의존 형식으로서 단어의 핵심부이다. 반면 어간은 굴절 어미가 합쳐질 수 있거나, 단독으로 단어가 될 수가 있는 단어의 핵심부이다. 이런 어간은 복합 형태일 수 있으므로 그 속에 파생 접사를 포함하기도 하거나, 어간을 하나 이상 포함하기도 한다"". 1.1.2. 파생어의 정의 파생어란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어근"에 "접사"가 붙어 새로운 단어가 형성된 단어이다"." 즉, 어근은 단어의 핵심부이며 접...2024.11.09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 어미비교2024.10.181. 중세국어 선어말 어미 1.1. 서론 선어말 어미란 용언의 활용 시 어간에서 가장 먼 거리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인 어말 어미보다 선행하는 위치에 있는 문법형태소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보조용언이라고도 한다. '가-'라는 동사의 어간을 활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동사의 어간인 '가-'는 '-다, -게, -지, -니'등과 같은 어말 어미와 연결되어 '가다, 가게, 가지, 가니'와 같은 활용형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동사의 어간을 활용할 때, 어간과 어말 어미가 늘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가더라, 갔었다, 가겠다'등...2024.10.18
-
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등을 정리하고 파생어휘 1개를 선택하여 어휘의미 추측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 절차를 제시하시오2025.03.09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이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학습자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한국어 어휘 지도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이. 의사소통의 능력 향상의 비례관계에 있는 어휘는 외국어의 학습에 있어 중요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이. 외국인 학습자가 언어를 배우게 되는 초기 단계에서 문장이 어색하고 문법이 맞지 않다고 하더라도 상황에 맞는 어휘를 구사한다면 의사소통은 가능해지기 때문에 어휘 교육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2025.03.09
-
불규칙활용환경4가지2025.06.211. 서론 1.1. 불규칙활용의 개념과 원리 불규칙활용은 용언에서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는 현상이다. 이는 일정한 환경에서 규칙적으로 변화가 생기는 '규칙 활용'과 구분된다. 불규칙활용은 결합하는 어미에 따라 달라지는데, 한국어의 어미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으' 계열 어미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불규칙활용이 일어나는 환경은 어미의 첫소리가 자음이 아닌 모음의 경우에 한정되며, '으' 계열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낱말에 따라 달라진다. 불규칙활용에는 어간의 불규...2025.06.21
-
용언의 불규칙 활용2025.06.211. 서론 1.1. 용언의 규칙 및 불규칙 활용에 대한 개요 우리가 용언의 불규칙 활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용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용언은 문장에서 움직임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 형용사를 포함하는 품사이다. 이러한 용언은 문장 내에서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철수가 수박을 먹는다."라는 문장에서 '먹다'는 동사이고, "집이 깨끗하다."라는 문장에서 '깨끗하다'는 형용사이다. 용언은 문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즉,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과 어미가 변화하여 문장의 의미와 문법적 기능...2025.06.21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에서의 접사2024.10.111. 단어의 형성 1.1. 단어의 형태 구조 단어의 형태 구조는 단어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들의 관계와 특성을 다루는데, 이를 통해 단어 형성 과정과 단어 단위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단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형태소이다. 형태소는 일정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구분된다. 자립형태소는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이고, 의존형태소는 다른 요소에 의지하여 쓰여야 하는 형태소이다"" 둘째, 단어 내부에 존재하는 형태소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단어를 분류할 수 있다.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