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에서의 접사2024.10.111. 단어의 형성 1.1. 단어의 형태 구조 단어의 형태 구조는 단어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들의 관계와 특성을 다루는데, 이를 통해 단어 형성 과정과 단어 단위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단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형태소이다. 형태소는 일정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구분된다. 자립형태소는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이고, 의존형태소는 다른 요소에 의지하여 쓰여야 하는 형태소이다"" 둘째, 단어 내부에 존재하는 형태소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단어를 분류할 수 있다. ...2024.10.11
-
파생어 개념 유형 및 추측능력 향상 교수 절차2024.11.091. 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1.1. 파생어의 개념 1.1.1. 어근과 어간의 개념 어근은 굴절 어미가 합쳐질 수 없는 단일한 형태의 의존 형식으로서 단어의 핵심부이다. 반면 어간은 굴절 어미가 합쳐질 수 있거나, 단독으로 단어가 될 수가 있는 단어의 핵심부이다. 이런 어간은 복합 형태일 수 있으므로 그 속에 파생 접사를 포함하기도 하거나, 어간을 하나 이상 포함하기도 한다"". 1.1.2. 파생어의 정의 파생어란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어근"에 "접사"가 붙어 새로운 단어가 형성된 단어이다"." 즉, 어근은 단어의 핵심부이며 접...2024.11.09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 어미비교2024.10.181. 중세국어 선어말 어미 1.1. 서론 선어말 어미란 용언의 활용 시 어간에서 가장 먼 거리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인 어말 어미보다 선행하는 위치에 있는 문법형태소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보조용언이라고도 한다. '가-'라는 동사의 어간을 활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동사의 어간인 '가-'는 '-다, -게, -지, -니'등과 같은 어말 어미와 연결되어 '가다, 가게, 가지, 가니'와 같은 활용형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동사의 어간을 활용할 때, 어간과 어말 어미가 늘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가더라, 갔었다, 가겠다'등...2024.10.18
-
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등을 정리하고 파생어휘 1개를 선택하여 어휘의미 추측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 절차를 제시하시오2025.03.09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이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학습자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한국어 어휘 지도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이. 의사소통의 능력 향상의 비례관계에 있는 어휘는 외국어의 학습에 있어 중요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이. 외국인 학습자가 언어를 배우게 되는 초기 단계에서 문장이 어색하고 문법이 맞지 않다고 하더라도 상황에 맞는 어휘를 구사한다면 의사소통은 가능해지기 때문에 어휘 교육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