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한국어 양태2024.10.291. 서법과 양태 1.1. 서법과 양태의 개념 서법과 양태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서법(mood/modal)은 문장의 내용에 대하여 말하는 이가 지니는 정신적 태도(mental attitude)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다. 일반적으로 용언의 굴절 형태나 어미 또는 문말 형태 따위로서 서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들을 가리킨다"". 양태(modality)는 흔히 명제 혹은 사태에 대한 화자의 정신적․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양태는 서법이나 어휘적 수단에 의해 나타나는 의미 범주이며, 서법은 사태에 대한 화...2024.10.29
-
한국어 통사론 요약 및 문법 총론 제4장 분석2024.12.091. 한국어 문법 1.1. 통사론 1.1.1. 통사론과 통사 단위 통사론과 통사 단위는 다음과 같다"" 통사론이란 둘 이상의 단어(word)가 결합하여 구(phrase), 절(clause), 문장(sentence)을 형성하는 원리를 탐구하는 분야이다. 이때 '단어, 구, 절, 문장'을 통사단위라고 한다"". 한국어 통사론이 다루는 최소의 통사 단위는 단어이고 최대 통사 단위는 문장이다"". 단어는 문장에서 홀로 쓰일 수 있는 말 중 가장 작은 단위이다. 구는 단어들이 모여 주변어-중심어의 관계로 맺어지거나 중심어만으로 절이나...2024.12.09
-
한국어 시제 체제 이분체계와 삼분체계 비교2025.01.201. 서론 1.1. 한국어 시제 체계의 특징 한국어 시제 체계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한국어는 시제를 과거, 현재, 미래로 세분화하여 표현하는 삼분체계의 특징을 보인다. 동사의 어간에 결합하는 선어말어미를 통해 과거 시제('-었-'), 현재 시제('-ㄴ/는-'), 미래 시제('-겠-')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나타낸다. 이를 통해 발화 상황에 따른 시제 의미 차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에서는 시제가 단순히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과 양태의 의미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특히 미래 시제...2025.01.20
-
한국어 시제 교육의 필요성2025.01.20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문법 교육이 체계적이지 않으며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다양한 언어교수법이 개발되고 논의되고 있지만, 실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는 매시간 문법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한국어 문법 교재 대부분에서 문법을 설명하는 비율이 높다. 따라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크며, 특히 시제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세계 언어의 공통...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