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세계를바꾼17가지 방정식2024.10.081. 역사와 수학의 만남 1.1. 들어가며 최근 수학의 대중화를 이끄는 흥미로운 인문 교양서가 많이 출간되고 있어 매우 다행이라고 느낀다. 수학 대중화를 이끄는 저자들 중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작가는 바로 김민형 교수였다. 그의 저서들은 수학을 대중들이 보다 가볍고 쉽게 접근하게 해주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인류의 역사 속에서 수학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여러 문명 속에서 수학이 다른 학문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발전해 왔는지 등에 대해 언급한다. 수학이 때로는 하나의 학파를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한 시대를 규정...2024.10.08
-
플랑크상수2024.12.021. 플랑크 상수 측정 1.1. 실험 목적 광전효과 현상을 설명한 광량자설을 이해하고, 플랑크상수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광전효과는 금속과 같은 물질에 특정한 진동수 이상의 빛을 쬐였을 때 전자가 그 물질의 표면에서 튀어나오는 현상이다. 이러한 광전효과는 1888년 홀와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지만, 고전물리학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했다. 1900년 플랑크는 복사에너지가 띄엄띄엄 떨어진 에너지 값을 갖는 광자의 형식으로만 존재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5년 후 아인슈타인이 광전효과를 설명하면서 광자의 존재를 ...2024.12.02
-
비환원적 물리주의2024.12.121. 과학혁명과 근대 과학의 발전 1.1. 데카르트와 대륙합리론 1.1.1. 연역법과 귀납법 데카르트와 대륙합리론에서 연역법과 귀납법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연역법은 일반적인 명제로부터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은 죽는다"라는 일반적인 명제로부터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라는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반면 귀납법은 구체적인 사례들로부터 일반적인 명제를 유도해내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이 까마귀는 검다", "저 까마귀도 검다", "저 까마귀들도 모두 검...2024.12.12
-
플랑크 상수2024.08.201. 서론 1.1. 빛의 이중성과 광전효과 빛은 고전 물리학에서는 파동으로 간주되었지만, 실험을 통해 빛이 입자와 같은 성질도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빛의 이중성"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실험이 바로 광전효과이다. 광전효과란 금속과 같은 물질에 특정한 진동수 이상의 빛을 쬐었을 때 전자가 그 물질의 표면에서 튀어나오는 현상이다. 이러한 광전효과는 헤르츠라는 과학자에 의해 밝혀졌는데, 당시에는 빛이 파동이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광전효과의 실험 결과는 고전 물리학의 예상과 부합하지 않는 특징들을 보였다. 첫째, ...202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