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광고의 격률 위반 사례2024.09.191. 광고에서의 대화함축 1.1. 격률을 준수한 사례 1.1.1. 질의 격률 준수 격률을 준수한 사례들 중 질의 격률 준수에 해당하는 사례는 "니가 알던 탄산수가 아니야 (초정탄산수, 2014년 11월)"이다. 이 광고는 초정탄산수가 첨가물이 없고 칼로리가 없어 기존의 탄산수와 다르다는 것을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여 말하고 있다. 따라서 진실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고 있어 질의 격률을 준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양의 격률 준수 집나간 명태를 찾습니다! 동해안 명태가 사라져, 국민들은 수입산 명태를 먹고 있습...2024.09.19
-
언어레시피 과제2024.10.261. 광고에 사용된 언어적 기법 분석 1.1. 대화의 격률 1.1.1. 관련성의 격률 관련성의 격률은 대화의 격률 중 하나로, 우리는 대화하고 있는 사람들이 협조적이고 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즉, 대화 중 주제와 관련성이 있는 얘기만 하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화가 어땠는지 물어봤는데 대답이 드라마에 관련됐다면 이는 관련성의 격률을 위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격률은 대화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주제의 관련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1.2. 양의 격률 양...2024.10.26
-
조선대학교 언어레시피2024.10.221. 광고 속 언어적 기법 1.1. 대화의 격률 1.1.1. 질의 격률 질의 격률은 거짓이라고 생각되는 말, 증거가 불충분한 말은 피하고 증거가 충분한 진실된 정보만을 제공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광고에서는 질의 격률을 의도적으로 위반하여 소비자의 주목을 끌거나 광고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그린피스의 "Do you know what you eat?" 광고에서는 자연과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전갈이라는 위험한 동물에 비유하며, "당신이 무엇을 먹고 있는지 아십니까"라는 의문문 카피를 사용함으로써 ...2024.10.22
-
조선대학교 언어레시피2024.09.041. 광고에서의 언어적 기법 1.1. 대화의 격률 1.1.1. 관련성의 격률 관련성의 격률은 우리가 대화하고 있는 상대방이 협조적이며 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화가 어떠했냐고 물어보았는데 대답이 드라마에 관련된 내용이라면, 이는 관련성의 격률을 위반한 것이다. 즉, 주제와 관련성이 있는 얘기만 하라는 것이 관련성의 격률이다."" 광고에서 관련성의 격률을 의도적으로 위반하는 사례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소비자의 주목을 끌고 메시지 전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볼보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