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병역제도, 자유주의와 사회주의2024.10.211. 병역 제도와 양심적 병역거부 1.1. 징병제와 자원제 징병제는 국민에게 병역의 의무를 부과하여 병역을 충당하는 제도이다. 나이나 신체적 특징, 여러 요인 등의 조건을 통해 해당 조건에 맞는 국민 모두에게 병역의 의무를 부과하며, 제비뽑기 등의 방법으로 병역을 충당한다. 징병제는 모든 국민에게 병역의 의무를 부과한다는 점에서 공평하다고 볼 수 있으며, 국가 입장에서는 병역을 온전히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특정 직업군이나 신체적 환경에 따라 징집 명령을 유예하거나 면제받을 수 있어 불평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2024.10.21
-
남성징병제에 대해 헌법재판소의 심사기준2024.10.211. 군병역의무 관련 헌법재판소 판결 1.1. 문제 제기 2014년 3월, 한 남성은 남성에게만 병역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병역법 제3조 1항이 국민 모두의 평등한 권리에 대해 명시하고 있는 헌법 조항과 상충된다는 것을 골자로 위헌에 관한 헌법소원을 하였다. 이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전원합의체 판결로써 기각 결정을 내렸다. 종전에도 남성만의 군복무의무가 헌법 제11조 제1항의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누구든지 성별·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2024.10.21
-
군형법 법률조항중 위헌소지2024.11.191. 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체복무제도 1.1. 양심적 병역거부의 현황 과거 병역거부자는 거의 대부분 「여호와의 증인」신자들이었는데 이들은 칼을 사용하지 말라는 성서(마태복음)의 구절에 근거하여 집총 등 모든 형태의 군사적 행위 및 전쟁을 거부하여 왔다. 병무청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병역거부자 중 여호와의 증인 신자는 2005년. 8. 31. 현재 3, 807명에 달하며 전체 병역거부자 3, 825명의 99. 5%를 점유하고 있다. 「여호와의 증인」 신자들이 주류를 이루던 가운데 2001년도에는 불교신자 오태양씨가 불살생(不...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