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비행기가 나는 원리2024.09.221. 서론 비행기는 왜 나는가? 이것은 항공정비사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지식이라고 생각한다. 항공기가 날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힘이 적용되며, 그중 양력은 비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힘이다. 양력이 있었기에 항공기를 띄울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레포트는 앞으로의 유체역학 수업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작성한다. 이번 조사는 먼저 양력을 알아본 뒤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이론들인 뉴턴의 운동법칙과 베르누이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확실성을 기하기 위해 전공서적과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레포트를 작성하였다. 2. 양력의 정...2024.09.22
-
항공우주학개론2024.10.211. 계기착륙장치 1.1.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ILS(Instrument Landing System)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공항에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장치이다. ILS는 글라이드 슬롭, 로컬라이저 및 마커 비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항 활주로 주변 및 접근 경로에 설치되어 전파를 발산한다. 비행기는 이 전파를 통해 자동으로 고도 및 위치를 잡을 수 있다. 역사적으로 ILS의 유사한 형태는 1930년대 후반에 등장했으며, 1947년 ICAO에서 활주로 접근 및 착륙 유도용 국제 표...2024.10.21
-
수영 역학2024.11.081. 수영의 운동역학적 분석 1.1. 수영의 무게중심과 부력 팔을 옆구리에 붙인 자세에서는 다리가 중력의 영향으로 다리 쪽에 회전력이 생겨 발이 가라앉게 된다. 이는 수영 시 신체의 무게중심이 하반신 쪽으로 치우치기 때문이다. 반면, 팔을 머리위로 뻗으면 인체중심이 상체 쪽으로 이동하여 물에 뜨게 된다. 이는 팔을 뻗음으로써 신체의 부피가 증가하여 부력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머리를 들 경우 물속에 잠긴 인체의 부피가 작아져 부력이 감소하므로 머리가 물 속으로 잠기게 된다. 이처럼 수영 시 신체의 자세에 따라 무게중심과 ...2024.11.08
-
종이비행기크기별 체공시간2024.11.071. 종이비행기 연구 1.1. 서론 어릴 적 날리던 종이비행기를 어떻게 하면 더 오래 날릴 수 있을지에 대하여 궁금증을 표하던 도중, '자연과학의 이해와 탐구'라는 교양과목의 프로젝트로 '체공시간이 긴 종이비행기 접기'를 시도하게 되었다. 체공시간이 긴 종이비행기를 접기 위해 여러 자료를 참고하다보니 어릴 적 장난치며 접어 날리던 종이비행기가 여러 논리적인 요소로 인해 하늘을 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종이비행기는 날개의 각도, 무게, 크기, 날개의 면적, 종이비행기의 무게중심, 종이의 재질, 종이의 종류, 던지는 방법, 종이비...2024.11.07
-
유체역학2024.10.251. 양력의 정의와 원리 1.1. 양력의 정의 양력이란 물체가 유체 속에서 움직일 때 생성되는 기계적인 힘의 일종으로, 유체 속을 운동하는 물체에 운동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의 합력을 말한다."" 1.2. 양력의 원리 1.2.1. 베르누이 방정식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 역학에서 매우 중요한 법칙이다. 이 방정식은 유체의 압력, 속도, 높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베르누이 방정식에 따르면 유체가 흐르는 동안 압력이 높은 곳에서는 속도가 낮고, 압력이 낮은 곳에서는 속도가 높다. 즉, 압력이 낮은 곳에서는 유체의 운동 에...2024.10.25
-
비행기 엔진 기술보고서2024.11.071. 항공기 계기와 시스템 1.1. 비행자세 지시계 (ADI: Attitude Direction Indicator) 비행자세 지시계(ADI: Attitude Direction Indicator)는 자이로 계기 중 자세계(Attitude Indicator)가 발전하여 롤링과 피칭뿐만 아니라, 자동조종시스템(AFCS: Auto Flight Control System)의 명령값과 계기착륙시스템(ILS: Instrument Landing System)의 정보도 함께 표시해주는 전자계기이다. ADI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방식의 전자식 비행자...2024.11.07
-
항공기에 적용되는 비행역학 원리2024.10.251. 서론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들에 대한 설명이다. 비행기가 공중을 날아다닐 수 있는 이유는 비행기 날개에 작용하는 공력 때문이다. 자동차나 배와 달리 항공기가 비행할 수 있는 것은 비행기의 날개 때문이다. 이처럼 항공기의 날개에 어떠한 작용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행중인 항공기에는 양력(lift), 항력(drag), 추력(thrust) 및 중력(weight)이라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이 중 하나의 힘만 있다고 비행기가 뜨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행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양력은 추력이 없으...2024.10.25
-
항공우주학개론2024.10.251. 에어포일의 명칭과 구조 1.1. 에어포일의 각 부분 명칭 에어포일은 비행기 날개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칭하며, 날개 단면이라고도 한다. 에어포일의 윗면을 윗면, 아랫면을 아랫면이라고 하며, 에어포일의 둥근 앞부분을 앞전, 에어포일의 귀 끝 부분을 뒷전이라고 한다. 보통 뒷전은 날카롭게 되어 있다. 에어포일의 앞전은 뒷전에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점으로 정의되며, 이 앞전과 뒷전을 연결한 선을 시위라 하고, 앞전에서 뒷전까지의 거리를 시위 길이라 한다. 윗면과 아랫면의 높이 차이 또는 윗면과 아랫면에 내접하는 원을 그렸을 ...2024.10.25
-
실생활 유체역학 풍력발전기 효율성 분석2024.11.101. 풍력발전기의 효율성 1.1. 전산유체역학(CFD) 전산유체역학(CFD)는 유체 현상을 기술한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s)을 수치해석 기법을 사용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유체의 비정상 유동, 경계층 및 난류 등의 복잡한 유동 현상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술이다. CFD 해석을 통해 풍력발전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CFD 해석 결과에 따르면 분당회전수(rpm)를 고정하였을 때 풍속이 높을수록, 날개 개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날개의 설정각...2024.11.10
-
풍동실험2024.11.181. 실험 목적 및 배경 1.1. 공기의 유동이 airfoil을 만났을 때의 유동 변화 확인 공기의 유동이 airfoil을 만났을 때의 유동 변화는 다음과 같다. 공기의 흐름이 airfoil을 만나면 유동이 변화하게 된다. airfoil의 앞전(leading edge)에서 공기의 유동은 분리되어 상부와 하부로 흐르게 된다. 상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속도는 증가하고 하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속도는 감소한다. 이에 따라 상부 표면의 압력은 감소하고 하부 표면의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차로 인해 양력이 발생하...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