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간호사투약사고대처방법2024.11.291. 투약오류 1.1. 투약오류의 정의 투약오류란 환자의 의무기록에 적힌 의사의 처방대로 투약되지 않은 경우로 처방기재 오류, 조제오류, 투약오류 및 환자의 복약이행 오류를 포함한다"이다. 즉, 투약오류에는 의사의 처방전 작성 오류, 약사의 조제 과정에서의 실수, 간호사의 실제 투약 과정에서의 잘못, 그리고 환자가 약물을 올바르게 복용하지 않는 경우 등 약물 투여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가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1.2. 투약오류 사례 1.2.1. 약물에 대한 지식 부족, 부정확한 약 투여 사례 약물에 대한 지...2024.11.29
-
보건의약관계법규 관련 위반사례2024.11.251. 보건의약관계법규 관련 위반사례 1.1. 약물 잘못 투여해 군인 숨지자 은폐한 사례 간호사 A씨는 2016년 3월 손가락 골절 접합수술을 받고 회복을 위해 병동으로 온 20살 육군 B 일병에게 주사를 놓았다. 의사가 처방전에 쓴 약물은 궤양방지용 '모틴'과 구토를 막는 '나제아' 였지만, A씨는 마취 때 기도삽관을 위해 사용하는 근육이완제인 '베카론'을 잘못 투약했다. B 일병은 투약 3분 뒤 심정지 증상을 보였고 한 달 뒤 사망에 이르렀다. 인천지방법원은 이에 간호사 A씨에게 금고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였다. 또한...2024.11.25
-
간호관리학_간호윤리 사례보고서2024.10.111. 간호윤리와 법적 책임 1.1. 간호실무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1.1.1. 신체적 자유와 안전의 대립 환자의 신체적 자유와 안전의 대립은 간호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 중 하나이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경우, 의식이 혼돈되어 있거나 낙상의 위험이 높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자에게 보행 및 낙상 예방을 위해 억제대를 사용하고자 할 때, 환자의 신체적 자유를 침해한다는 우려가 발생한다. 반면에 억제대를 사용하지 않으면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과 낙상 예방을 위해 억...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