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삶에약이되는약이야기2024.11.121. 약의 작용과 사용 1.1. 약의 작용 1.1.1. 약물의 작용 기전 약물의 작용 기전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약물이 세포 내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트로핀이나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히스타민의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반면, 아편유사제나 인슐린은 각각 아편 수용체와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 전달을 모방하거나 증가시킨다. 또한 일부 약물은 수용체에 직접 결합하지 않지만 신호 전달물질의 대사를 억제하거나 수용체 재흡...2024.11.12
-
기초의학 정리2024.11.111. 약물학 1.1. 약동학 및 약역학 1.1.1. 약물의 흡수 약물의 흡수는 약물이 체내에 들어가 작용 부위에 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약물이 체내에 투여된 뒤 이동하여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약물 흡수라고 한다. 약물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약물의 용해도, 농도, pH, 흡수 부위, 흡수 표면적, 혈액공급 및 생체이용률 등이다. 먼저 약물의 용해도는 약물이 체액에 녹여질 수 있는 정도로, 용해도가 높을수록 흡수가 용이하다. 또한 약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농도 경사에 의해 확산이 더 잘 일어...2024.11.11
-
치과약리학2024.09.091. 약리학의 기본 원리 1.1. 약역학 1.1.1. 약물 작용 기전 약물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작용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낸다. 약물은 주로 세포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여 효과를 나타내며, 주된 약물 결합 표적은 단백질이다. 대표적인 약물 결합 표적 단백질로는 이온통로, 수송단백질, 효소, 수용체가 있다. 이온통로 수용체는 특정 약물과의 결합에 의해 이온통로가 활성화되어 작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국소마취제가 신경세포막의 전압 의존성 Na+ 통로에 결합하여 Na+의 세포내 유입을 봉쇄함으로써 마취 효과를 나타낸다. G단백...2024.09.09
-
약물유전학2025.01.201. 서론 1.1. 약리유전학의 정의와 중요성 약리유전학은 개인의 유전적 특성이 약물의 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같은 용량의 동일한 약물을 투여받더라도 개인에 따라 약물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각자의 유전적 특성에 기인한다. 모든 생명체는 서로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유전적 차이로 인해 약물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분자의 종류, 개수 및 연쇄반응이 달라져 약물 반응이 개체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약리유전학은 유전적 요인을 고려한 개체특이적 약물 작용을 이해함으로써 ...2025.01.20